더프리덤타임즈는 지난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11월27일 목요일 제국신문 원문.사진=국립중앙도서관
(대한의 근일 정형 번역 연속(8))
동양 각국에는 형편이 항상 위태하여 변란(편집자 해석: 갑작스럽고 혼란스러운 사건이나 난리)이 어느 때에 생길는지 모를지라. 그 근인인즉(편집자 해석: 그 근본적인 원인은 곧..., 어떤 현상의 근본 원인을 설명할 때 쓰는 표현) 정치가 바로 잡히지 못하고 탐장토색(貪贓討索, 편집자 해석: 부정부패를 일삼고, 뇌물을 탐하며, 강제로 재물을 빼앗는 행위)이 날로 심하므로 아무리 나약한 민정(편집자 해석: 백성들의 감정이나 정서, 또는 사회적 분위기)이라도 능히 견디기 어려울지라. 이중에서 어찌 장구히 편하기를 기약하며, 한번 소동(편집자 해석: 혼란스럽고 시끄러운 상황)하여 정신을 차리지 못하게 될진대 친구와 원수를 분간치 못할지라.
이번에 제주 민란으로 보아도, 천주교인들이 혹 세감(稅減, 편집자 해석: 세금을 줄여주는 것)이 되어 늘려 받는 세를 거두는 고로, 백성이 견디지 못하여 일시에 일어나 교인을 무수히 살해하므로 형세가 심히 흉흉한지라. 간신히 진정하므로 예수교인들은 이 사건에 간섭이 없었으나, 이것이 다 민정을 진정치 못하여 생기는 근심이라. 하물며 흉년이 들기 쉬운즉 백성이 더욱이 어찌 견디리요, 이때를 타서 이웃 나라에서 이 사정을 자세히 알고 응당 민정을 선동하여 내란이 생기게 하고, 흔단(편집자 해석: 분쟁이나 사움의 실마리, 시초, 또는 도화선)을 타서 정치를 더욱 가까이 간섭하러 할지니, 조선 남도에서 불구에 소동이 일어나기가 심히 염려되는 바이더라.
그러나 이상에 말한 바는 다 드러난 근심이거니와, 그 속을 더 궁구(편집자 해석: 깊이 파고들어 연구하거나 따져보는 것)할진대 가장 국세의 위급함인즉 민정이 모두 썩어지고, 요사하고 궤휼(편집자 해석: 거짓되고 간사한 말이나 행동. 속임수, 기만, 사기)한대 참혹하여 열린 백성은 잠시도 이 중에서 살 수 없을 듯 한지라. 서양 교사들이 남녀노소간에 사는 자 무수한데, 이 사람들인즉 다 조선이 어두워, 조선 백성이 환란토탄(편집자 해석: 극심한 고통과 혼란 속에 빠진 상태) 중에 든 연고로, 이 나라의 사람들을 위하여 와서 각기 자의(편집자 해석: 자기 스스로의 뜻이나 의지)로 고초를 같이 겪으며 일하는 것이라. 만일 이 나라가 열리고 백성이 다 편안할진대 미국이나 영국에 교인들이 무엇하러 왔으리요. 한 교사의 어린 딸이 있어 그 모친더러 묻기를, 어머니 여기사람들의 사는 것이 미국만 못 하구려 한 대, 그 모친이 답 왈(曰); 오냐, 그러하다. 여기가 우리나라만 못한 고로 우리가 여기 왔느니라 하였나니, 외국 선교사들은 마땅히 이 뜻을 잊지 말고 이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일을 더욱 부지런히 할 것이고, 본토 사람들도 마땅히 이 뜻을 속히 깨달아 까닭 없이 미워하지 말지라.
이 백성들이 교제하는 모양을 볼진대 청국같이 반대하는 마음은 없고 도리어 외국인에게 의뢰하여 그 환란(편집자 해석: 재난이나 큰 어려움, 전쟁이나 내란 같은 사회적 혼란을 포함한 고통스러운 상황)과 고초(편집자 해석: 육체적 또는 정신적인 고통과 괴로움) 당하는 사정으로 외국인의 구제를 바라며, 내가 내지 유람할 때에 도처에 그 민정을 살핀 것이 또한 족히 전국인을 다 짐작할지라. 가는 곳마다 사람이 겹겹이 에워싸서 구경하며 혹 웃는 낯으로 정답게 인사도 하고, 혹은 무엇을 가져다가 대접도 하며, 우리가 구하는 것은 말하는 대로 얻어주며, 우리가 혹 값을 주면 도무지 받지 않고 먼 길에 편히 내왕하기를 부탁하며, 정답고 공손함이 교인이나 일체로 각별하더라.
내외국인의 관계를 말할진대, 첫째 대한 사람들이 영민하여 감동하기 쉬운 고로 교육만 시키면 화(化, 편집자 해석: 변화시키다)하기 청인보다 대단히 속(速, 편집자 해석: 빠르다)할 것이고, 둘째는 몇 백 년을 강한 이웃나라에 속하여 지내었으므로 지금은 비록 이름으로 독립이라 하나 실상은 아직도 외국에 의뢰하는 마음을 버리지 못하였으며,
셋째는 세를 많이 거두며 백성을 잘못 다스리는 중에서 환난곤궁(편집자 해석: 재난과 궁핍)이 생겨 사람마다 구제하고 보호하여 주기를 바라므로 자연히 교회 중에서 도와주는 힘으로구제하기를 바라며, 넷째는 미국 공사가 처음에 척신귀족(戚臣貴族, 편집자 해석: 왕실과 친척 관계인 고위 관료)에 위태함을 구원하였고, 을미사변 때에 황실이 도한 위태한 고로 미국 공사와 여러 교사들이 힘써 보호하여 들었으므로 내가 폐현(陛見, 편집자 해석: 임금을 뵘)할 때에 위에서 친히 날더러 그때 감사하던 말씀을 하시는지라. 조선에 근일 정형(편집자 해석: 상황, 형편)이 대강(편집자 해석: 대략, 개요) 이러하더라.
본 기자 왈(曰): 이상 여덟 폭에 연일 번역한 것은 다 아더 브라운 씨의 대한 유람가 중에서 대강만 뽑아 번역한 것이라. 연하여 자세히 보면 내 나라 사정도 더 알 것이 없지 않아 보여, 외국인이 우리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깊이 짐작할지라. 그만 끝을 마치노라.
(다음 호는 11월15일 제288호)
※ 편집자 주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