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수수색 과정서 확보한 돈뭉치.사진=우크라 반부패국 텔레그램/연합뉴스
우크라이나 국가반부패국(NABU)과 반부패특별검사실(SAPO)은 11일(현지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 최측근 티무르 민디치를 포함한 7명을 에너지 부문 1억 달러(약 1천400억원) 규모 자금 세탁 혐의로 입건하고 5명을 구속했다고 에이에프피(AFP)·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검찰은 민디치가 젤렌스키 대통령과 코미디언 시절 공동 설립한 크바르탈95 공동 소유주로, 대통령과의 관계를 이용해 원자력공사 에네르고아톰 계약 과정에서 10~15퍼센트(%) 리베이트를 조직적으로 챙겼다고 밝혔다.
뒷돈은 별도 사무실에서 관리한 뒤 역외 기업 네트워크로 세탁됐다.
엔에이비유 수사팀장 올렉산드르 아바쿠모우는 민디치가 10일 대규모 압수수색 직전 해외로 도피했다고 국영 TV에서 공개했다.
수사 당국은 정·재계가 비리를 묵인했다고 보고 4년간 에너지부 장관을 지낸 헤르만 갈루셴코 현 법무장관도 입건했다.
율리아 스비리덴코 총리는 12일 엑스(X, 구 트위터)에 “임시 내각회의를 열어 갈루셴코 법무장관 직무를 정지했다”고 발표했다.
갈루셴코 장관은 “수사 기간 직무 정지는 정당하다”며 법정에서 결백을 증명하겠다고 반박했다.
정부는 즉각 에네르고아톰 감독위원회를 전원 해임하고 협력사 선정 과정에 대한 긴급 감사를 착수했다.
11일 정전된 키이우 주거지역 위로 환히 뜬 달.사진=연합뉴스
젤렌스키 대통령은 “모든 부패 척결 조치는 매우 필요하다”며 공무원들에게 반부패 기관에 전면 협조할 것을 지시했다.
부패 척결은 우크라이나의 유럽연합(EU) 가입 선결 조건 중 하나로, 이번 사건은 전시 에너지 위기와 맞물려 대중 분노를 키우고 있다.
러시아는 침공 후 네 번째 겨울을 앞두고 미사일·드론을 동원해 에너지 시설 공격을 강화하고 있으며, 키이우 대통령궁에서도 최근 인터뷰 도중 두 차례 정전이 발생했다고 가디언이 전했다.
검찰은 “민디치는 대통령과의 관계를 이용해 범죄적 자금을 통제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반부패국 관계자는 “에너지 부문 부패는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