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지난 2022년 10월1일 창간을 했다. 인터넷뉴스 창간 전 시스템 작업을 마친 직후 곧바로 비봉출판사에서 출간한 <우남 이승만 論說文集(논설문집)> 3권 중 제1권을 지난해 9월 20일부터 올해 9월19일까지 당시 보도 날짜를 따라 그대로 전재(全載)했다. 약 125년 전 우리 시대상(時代相)을 그렇게 간접 경험을 했다.
독자들은 매일 혹은 며칠을 띄워 연재된 논설문집을 보면서 1권을 본 것이다.
이제 창간 1주년을 맞아 <우남 이승만 論說文集(논설문집)> 제2권을 이날부터 연재한다.
<우남 이승만 論說文集(논설문집)>에는 서재필이 조직한 학생청년회 ‘협성회’ 토론회를 이끈 이승만이 ‘협성회보’ 제작 편집을 맡았던 신문에서 수록한 것과 23세의 이승만이 ‘매일신문’을 창간 후 수록한 것 그리고 한성 감옥 복역 중(1899년~1904년)에 비밀리 집필하여 감옥 밖으로 보내 제국신문에 게재했던 수백 편의 논설 중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는 공화국이다. 공화국으로서 건국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은 작금의 시대 사람들에게는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잘못된 인식과 나쁜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하지만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 당시 대통령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미 그는 유일 후보로 최소 득표수를 너끈히 넘긴 당선자였다.
예나 지금이나 아랫사람 관리를 잘못하면 윗사람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지만, 이 나라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에게는 그 잣대가 너무도 가혹해 그의 훌륭한 업적은 논(論)하는 것조차도 불편하게 되었다.
허나, 만고의 진리 중 진실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론계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절대 변하지 않은 진실과 바로 잡아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서 다음의 내용은 제일 우선시 되어야 만이 이 땅에 살아 숨 쉬고 있는 모든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1898년 4월 9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지인 「매일신문」이 창간한 날이다. 이 신문을 창간한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다.
그는 무지한 국민을 하루빨리 계몽해서 ‘똑똑한 국민’으로 만들고 싶어서 신문을 창간한 것이다.
하지만,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1896년 4월 7일 창간해서 오늘날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서재필의 피는 한국인(人)지 모르지만, 그는 미국인(人)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전시된 서재필에 관한 내용을 보면, 그는 이 땅에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 되어 있을 정도로 당시 그는 철저히 미국인(人)이었다.
고로, 대한민국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된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을 바꿔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인 ‘이승만’이 최초로 신문을 만들었다. 훗날 그는 대한민국의 건국 대통령이기도 하다.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인(人) 만든 신문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로 정하자!
대한제국 광무 5년(1901년) 5월13일 제국신문 제4권 제100호에 실린 논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태서 각국이 처음으로 개화(開化)하던 사기(事記)를 보게 되면, 나라마다 의례히 두 가지 편당(偏黨)이 먼저 생겨서 한 당에서는 속히 개화를 하여 나라를 문명하고 백성을 편리하게 하자하며, 또 한 당에서는 아무쪼록 옛것을 지키어 선왕(先王)의 예악법도와 의관문물을 변치 말자고 하여, 각각 한 목적을 가지고 힘을 다하여 죽기를 무릅쓰고 서로 성사시키려 하므로, 필경은 큰 싸움이 생겨 여러 해를 두고 사람이 여러 천명 여러 만 명씩 죽은 후에야 비로소 한 편이 이기고 한 편이 져서 일이 끝이 나는데, 그 끝나는 날에는 필경 어느 편이 이기고 한 편이 져서 일이 끝이 나는데, 그 끝나는 날에는 필경 어느 편이 이기고 어느 편이 저서 태서 제국에 지금 개화(開化)가 되었는지 수구(守舊)가 되었는지 이것은 우리가 말을 아니 하여도 짐작들 하시려니와, 대저 그 싸움이 속히 생길수록 일이 좌우간 속히 끝이 나서 백성이 괴로움을 오래 받지 않고 도탄을 면하는 법이다.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외국과 상통한 지 거의 이십년에 아직까지도 그런 싸움이 생기기는 고사하고 수구당(守舊黨)이라든지 개화당(開化黨)이라는 이름도 별로 없어서 사람마다 친구를 상종할 적에 개화가 좋다는 이를 대하여서는 개화당처럼 말하고, 수구를 좋아하는 이를 대하여서는 수구당처럼 말을 하여, 남이 하는 대로만 따라 하기로 작정인데, 다만 말만 그러할 뿐 아니라 정부에 들어가 일하기를 또한 그같이 하여, 어디를 가든지 무슨 일을 하든지 남을 잘 얼러맞추어야 세상에 재주 있고 영악한 사람이라고도 하며, 벼슬도 잘 얻어하니, 그러고 본즉 개화당도 없고 수구당도 없으니, 그런고로 이때까지 개화도 못되고 수구도 못되어 그럭저럭 지내는 사이에 곯고 결단 나는 것은 나라일이라.
그런즉 얼른 생각하면 이 백성이 되어 정부에서 일하는 이들을 칭원(稱寃)하듯 하나, 그렇지 않은 것이, 만일 나라가 그 해(害) 받는 줄을 깨달아 바삐 좌우간 작정을 하고 한 편 길로 가려고 할 것 같으면, 남의 뜻을 잘 맞추어 주는 관인 네들이 그 백성의 마음대로 순종하라고 힘쓰고 시행하여 일이 벌써 결말이 났을 것을, 사람들이 저의 일을 남에게 맡기고 앉아 남이 하는 대로 따라가려 하니, 전국이 다 이 모양인 즉, 무슨 일이 될 수 있으리오. 실상을 생각하면 사람마다 제가 제 몸을 망하게 하고 앉아 해를 받는 것이라. 이것을 깨닫는 이는 오늘부터라도 개화와 수구 양단간에 남은 어찌하든지 내 마음을 작정하고 실상을 행하여야 할지라.
그러나 지금 우리나라 사람들은 무슨 당이라고 할런지, 투철히 개화당도 아니고 수구당도 아니다. 말하고 보면 여러 가지 섞은 당이라 할 만하되, 근일에 하는 일들을 보면 반대당이라고도 할 만하도다. 이 반대당은 외국의 반대당과 달라서 특별히 무슨 일을 드러내어 놓고 무슨 일을 반대하는 당이 아니라, 속으로 은근히 세계를 모두 반대하는 당이로다.
첫째, 서양 제국에 문명개화하는 목적과 모두 반대요, 둘째 본국 토민의 수구하는 자의 뜻과 반대요, 셋째 신문과 연설에 또한 반대인 즉, 간간 외국 문자를 보든지 그 사람들을 대하여 말을 하든지 사람마다 이 세상이 문명진보하여 가기를 바란다는 이는 없고 모두 그럭저럭 흉보듯 하며 하나도 일심으로 나라 일을 도와주려는 친구는 없어서, 이같이 외롭고 약한 나라를 만들어 놓아 오늘날 이 나라가 튼튼한 기초를 바리기 어려운즉, 어찌 신민 된 자의 통곡할 일이 아니리오. 그런 중에 지금 하는 일들을 모두 세계와 다 반대하니, 필경은 나라를 어찌하며 자기 몸들을 어찌 하려는 생각인지...
(다음 호는 11월24일 제109호)
<편집자 주>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는 <우남 이승만 論說文集(논설문집)>의 편집자이기도 하다.
1970년 서울상대 경제학과 졸업 후 1980년에 비봉출판사를 설립했다.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를 역임했으며, 1966년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孟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漢詩集, 일명 체역집(替役集) 등이 있다.
박기봉 대표의 열열한 협조 덕분에 독자들에게 당시 시대상과 함께 젊은 이승만의 사고(思考)와 사상(思想)을 엿볼 수 있게 하여 큰 감사의 인사를 지면으로 다시한번 드린다.
연재 중 어느 독자는 “이렇게 훌륭한 글들을 우리가 배운 교과서에 단 한 점도 실리지 않았다는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欺瞞)이고 역사학자들의 배임(背任)이다”라고 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論說文集(논설문집)’이 대한민국 교과서에 실리는 그날을 기다리며 <우남 이승만 論說文集(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이번 연재는 지난 1권처럼 당시 보도된 날짜가 아닌 월(月). 수(水), 금(金)요일 순으로 하여 1주일 3번 전재(全載) 한다.
저작권자 ⓒ 더프리덤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