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오피니언
사설
칼럼
기고
기획·연재
정치
사회
경제
코로나19
국제·문화
북한·동포
기자수첩
건강
스포츠
야구
축구
스포츠 일반
자유게시판
오피니언
사설
칼럼
기고
기획·연재
정치
사회
경제
코로나19
국제·문화
북한·동포
기자수첩
건강
스포츠
야구
축구
스포츠 일반
자유게시판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오피니언
기획·연재
정치
사회
경제
코로나19
국제·문화
북한·동포
기자수첩
건강
스포츠
자유게시판
더프리덤타임즈 소개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건강
건강
다음
이전
건강
우울증도 뇌졸중 위험요인
슬프고 우울한 기분이 오래 지속되면 뇌졸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아일랜드 골웨이(Galway) 국립대학 의대 임상 연구 센터 노인·뇌졸중 연구실의 로버트 머피 교수 연구팀이 유럽 , 남·북미,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의 32개국에서 총 2만6천877명(평균연령 61.7세, 여성 40.4%)을 대상
나지훈
2023.03.21 10:18
건강
"노년의 적 파킨슨병…한국인 위험요인 1위는 운동부족"
파킨슨병은 뇌에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특정 신경 세포들이 점차 죽어가면서 나타나는 만성 퇴행성 뇌 질환이다. 몸의 떨림과 경직, 느린 동작(서동증), 자세 불안정 등이 대표적인 증상이다.이 질환은 제임스 파킨슨(James Parkinson)이라는 영국인 의사가 1817년에 발표한 논문(An essay
나지훈
2023.03.11 11:12
건강
美 워싱턴 대학 의대 신장내과 연구팀. "심방세동, 치매 위험과 연관"
부정맥의 유형 중 하나인 심방세동(AF: atrial fibrillation)이 치매 위험과 연관이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심방세동은 심장의 윗부분인 심방이 이따금 매우 빠른 속도로 수축, 마치 그릇에 담긴 젤리처럼 가늘게 떠는 상태가 되면서 심박수가 분당 100회 이상으로 급상승하는 현상이다. 좌심방에 심방
나지훈
2023.03.10 10:37
건강
1형 당뇨병 환자에 GLP-1, SGLT2 투여하면?
1형 당뇨병 환자가 인슐린으로 혈당 관리가 잘되지 않아 2형 당뇨병 치료제인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 수용체 작용제(GLP-1 RA)나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2(SGLT2: sodium-glucose cotransporter-2) 억제제를 병행 처방할 때는 득과 실을 잘 따져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당뇨병의 대
나지훈
2023.02.22 10:46
건강
하루 소주 3잔 이상 과음하면 치매 위험 8% 높다
지속적인 과음이 치매에 걸릴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다시 한번 확인됐다.구미 차병원 가정의학과 전근혜 교수,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9년과 2011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393만3천382명을 평균 6.3년 추적 관찰
나지훈
2023.02.20 15:33
건강
초기 폐암, 폐엽 부분 절제도 가능
초기 폐암은 폐엽의 종양이 발생한 구역만을 절제해도 폐엽 전체를 절제하는 것과 생존율은 비슷하고 폐 기능은 다소 좋아질 수 있다는 대규모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미국 뉴욕 웨일 코넬 의과대학(Weill Cornell Medicine) 흉부외과 전문의 나세르알토르키 교수 연구팀이 미국, 캐나다, 호주의 83개 임상센터에서
나지훈
2023.02.13 09:46
건강
"결혼 오래 지속, 치매 예방에 도움"
오랫동안 결혼 상태(marital status)를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노르웨이 보건 연구원의 비에른 스트란드 교수 연구팀이 성인 8천7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7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의 결
나지훈
2023.02.08 09:37
건강
커피-신장병 연관, 변이유전자 때문
지나친 커피와 신장질환 사이에 연관이 있는 이유는 카페인의 대사를 지연시키는 CYP1A2 변이유전자와 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이탈리아 파도바(Padova) 대학 의대 심장내과 전문의 파올로 팔라티니 교수 연구팀이 '베네치아 고혈압-외래기록 연구' 대상자 1천180명의 7.5년간 추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
김두천
2023.02.07 11:20
건강
"코골이, 뼈 건강에도 부정적 영향"
코를 심하게 골고 자는 사람은 뼈와 치아가 약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뉴욕 버펄로 대학 치의과대학의 티아크리아트 알제웨이르 치열교정 전문의 연구팀이 성인 38명을 대상으로 콘빔 컴퓨터 단층촬영(CBCT: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으로 두경부의 골밀도를 측정한 결과 이 같은
나지훈
2023.02.03 18:00
건강
"비만, 치매 유사 뇌 변화와 연관 있다"
비만한 사람의 뇌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게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뇌 위축이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캐나다 맥길(McGill) 대학 몬트리올 신경학 연구 병원(The Neuro: Montreal Neurological Institute-Hospital)의 필립 모리스 교수 연구팀은 비만한 사람과 치매 환자의 뇌
나지훈
2023.02.02 10:07
건강
"당뇨병, 오십견 위험↑"
당뇨병이 동결견(오십견: frozen shoulder)의 위험요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오십견은 대개 관절 수술 또는 외상, 어깨 주위 힘줄과 관절의 염증이나 손상으로 발생한다. 50대에 잘 나타난다고 하여 오십견이라고 불린다. 영국 킬(Keele) 대학 의대 관절염 1차 진료 센터의 브레트 다이어 교수 연구
나지훈
2023.02.01 11:54
건강
"성염색체 하나 더 가지면 정맥 혈전 색전증 위험"
인간의 유전 정보가 담겨있는 23쌍의 염색체 중 한 쌍은 성을 결정하는 성염색체다. 남성의 성염색체는 X염색체 하나와 Y염색체 하나(XY), 여성의 성염색체는 X염색체 2개(XX)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남성은 성염색체에 Y가 하나 더 추가된 XYY, 여성은 X염색체가 하나 더 추가된 XXX인 경우가 있다. 성염색체
나지훈
2023.01.30 10:58
건강
"뇌졸중 위험요인, 연령대 따라 차이"
뇌졸중 위험요인 중 일부는 노년기가 되면 그 위험 강도가 약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앨라배마 대학 보건대학원의 조지 하워드 생물통계학 교수 연구팀이 '뇌졸중 지리적·인종적 차이 이유'(Reasons for Geographic and Racial Differences in Stroke) 연구 참가자 2만8천235
김두천
2023.01.26 09:29
건강
아질산염 노출, 당뇨병 위험↑
주로 식육 가공품의 보존제 또는 발색제로 사용되는 아질산염(nitrite)이 2형 당뇨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프랑스 소르본 파리 노르 대학(Sorbonne Paris Nord University)의 베르나르 스루르 역학 교수 연구팀이 성인 10만4천168명을 대상으로 평균 7.3년에 걸쳐 아질산염
나지훈
2023.01.19 10:39
건강
파킨슨병 근원은 뇌 아닌 장(腸)(?)
파킨슨병은 장(腸)에서 시작돼 뇌로 옮겨가는 질환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파킨슨병은 운동을 조절하는 뇌 부위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dopamine) 생산 세포가 소실되면서 근육 경직, 몸 떨림, 느린 동작 같은 운동장애가 나타나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 영국 서리(Surrey) 대학 인공지능 연구소
김두천
2023.01.18 09:36
건강
요산, 심방세동과 관계있다
중년에 체내 요산(uric acid)이 지나치게 많으면 대표적인 형태의 부정맥인 심방세동(AF: atrial fibrillation)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요산은 독성이 강한 암모니아성 부산물인 퓨린(purine)이라는 물질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대사산물이다. 요산이 과다하거나 소변으로 충분히 배출되지 못
나지훈
2023.01.16 09:02
건강
"치매치료제, 뇌혈관장벽 열어 투약하면 전달률 8.1배↑"
뇌를 보호하는 뇌혈관장벽(BBB)을 일시적으로 열어 치매 치료제를 투약하면 약물 전달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연세의대 신경외과 장진우 교수와 서울의대 약리학교실 김혜선 교수 공동 연구팀은 치매를 일으킨 생쥐의 해마 부위에 위치한 뇌혈관장벽을 고집적 초음파로 개방해 치매 항체 치료제를 투약한 결과
나지훈
2023.01.13 10:39
건강
"50살 넘어 당뇨병 발병…췌장암 위험 7.5배 높다"
50세 이상의 나이에 당뇨병을 처음 진단받았다면 당뇨병이 없는 동년배보다 췌장암 발병 위험이 7.5배로 높아지는 만큼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이희승·방성민 교수,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장성인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2∼2013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시행한 국가검진에서 당뇨병을 진
나지훈
2023.01.03 08:46
1
|
2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