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은 31일 한순규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콩 벌레 공생 곰팡이 허포트리시아(Herpotrichia, 허포트리시아, Herpotrichia sp. SF09)에서 발견된 천연 항신경염증 물질 ‘허포트리콘 A, B, C’를 세계 최초로 화학 합성했다고 밝혔다.
허포트리콘은 뇌 염증 억제와 신경세포 보호 효과로 치매와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허포트리콘은 허포트리시아 곰팡이에서 극미량만 얻어지던 물질로, 연구팀은 복잡한 구조를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핵심은 딜스-알더(Diels–Alder, 딜스-알더, Diels–Alder reaction) 반응으로, 탄소 기반 분자가 육각 고리 구조를 형성하도록 유도했다.
연구팀은 수소결합을 정교히 조절해 반응이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설계했다.
한순규 교수는 “희귀 천연물을 최초로 합성하고 생체모방 합성 원리를 체계화했다”며 “항신경염증 치료제 개발과 천연물 생합성 연구에 폭넓게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생명과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이유진 학생이 제1 저자로 참여한 이 연구는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 미국 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JACS)에 지난 16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