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 건강ㆍ치통 (PG).사진=연합뉴스

질병관리청은 1일 ‘2024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12세 아동 10명 중 6명이 영구치 충치(충치)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510월 5세와 12세 아동 약 2만55명을 대상으로 한 구강검진과 설문 결과, 12세 아동의 영구치 충치 경험자율은 60.3%로, 20212022년 조사(58.4%)보다 1.9%포인트 증가했다.

충치 경험자율은 2010년 60.5%, 2015년 54.6%, 2018년 56.4%로 정체 상태다.

12세 아동 1인당 충치 경험 영구치 수는 평균 1.9개로 직전 조사와 동일하며, 현재 충치를 보유한 유병자율은 7.3%로 0.4%포인트 올랐다.

5세 아동의 유치 충치 경험자율은 58.3%, 유병자율은 25.3%, 평균 충치 치아 수는 2.7개로, 2018년 이후 감소 추세다.

12세 아동의 57.7%는 충치 예방을 위한 치아 홈 메우기를 시행했으며, 1인당 평균 1.8개 치아에 적용됐다.

코로나19 유행 당시 학교 칫솔질 금지 여파로 점심 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은 22.6%에 그쳤다. 이는 2021~2022년(15.2%)보다 7.4%포인트 증가했으나, 2018년(33.3%)에는 미치지 못한다.

질병관리청


12세 아동의 58.1%는 과자·사탕 등 충치 유발식품을 하루 2회 이상 섭취하며, 29.4%는 탄산음료를 2회 이상 마신다.

최근 1년간 치과 진료를 받은 12세 아동 비율은 72.1%로, 2021~2022년(61.0%)보다 11.1%포인트 증가했다.

치과 진료가 필요함에도 받지 못한 비율은 14.7%로 3.0%포인트 감소했으며, 이유는 시간 부족(51.5%), 가벼운 증상(23.3%), 진료 공포(9.8%) 순이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충치 경험 증가, 칫솔질 저조, 간식 섭취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주기적 검진, 구강 관리, 식습관 교육 강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