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 발표를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도체 100% 품목 관세’ 발언으로 고심에 빠졌다.

반도체 산업의 불확실성이 커지며 상호관세 협상 타결과 소비 회복으로 높아진 기대감이 꺾였다.

기획재정부는 관세 동향을 면밀히 분석하며 성장률 결정 요인을 원점에서 재검토한다.

지난 6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생산시설이 없는 반도체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다음 주 경제 성장전략 발표와 함께 공개될 성장률 전망에 중대한 변수다.

정부는 올해 1월 1.8% 성장률을 전망했으나, 1분기 GDP 역성장과 관세 이슈로 하향 조정이 불가피하다.

최근 2분기 성장세 개선과 소비 회복, 상호관세 협상 타결로 1%대 전망이 우세했으나, 반도체 관세 발언으로 분위기가 반전됐다.

정부는 미국이 한국에 최혜국 대우(15% 관세)를 약속했다고 강조하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미국 내 공장 건설로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것으로 본다. 그러나 관세 면제 대상이 미국 내 생산 반도체로 한정되는지, 미국 공장 건설을 약속한 기업의 모든 반도체로 확대되는지 불명확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 협상 방식과 일본 사례(15% 추가 관세 오해)로 불확실성이 증폭된다.

기재부 관계자는 “반도체 관세는 한국 경제에서 민감한 사안”이라며 “불확실성이 크다”고 밝혔다.

관세가 악재로 작용하면 성장률이 1% 미만으로 떨어질 수 있으나, 새 정부 첫 전망인 점에서 1%대를 유지하려는 기대도 있다.

기재부는 관세 동향, 추경 효과, 소비 흐름 등을 종합해 최종 전망을 조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