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부 청사 앞 '영웅을 기억하는 나라' 표지판.사진=연합뉴스
국가보훈부는 제80주년 광복절을 맞아 국내 독립운동 현충시설 1천1곳에 대해 대대적인 실태점검을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선열들의 숭고한 독립 정신을 기리고 후손들에게 올바른 역사를 전달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으로 풀이된다.
전국 27개 보훈관서 공무원들이 직접 현장을 찾아 시설 외관과 노후·안전관리 상태, 안내판, 주변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하며, 광복절 전까지 모든 점검을 마칠 방침이다.
특히 건립된 지 50년 이상 된 시설 491곳에 대해서는 별도 관리 목록에 포함하여 안전 진단을 하는 등 집중적인 관리해 나갈 예정이다. 이는 노후 시설의 안전을 확보하고 보존 가치를 높이기 위한 선제적인 조치다.
보훈부는 이와 함께 현행 현충시설정보서비스(mfis.mpva.go.kr)의 '관리실태 신고' 기능을 '국민의견'으로 개편하고, 다음 달부터 개·보수가 필요한 현충시설에 대한 온라인 신고를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다.
국민들의 참여를 독려하여 현충시설 관리에 대한 관심과 책임감을 높이려는 의도다. 더불어 현충시설 보존·관리 우수사례 공모를 통한 포상도 추진하여 긍정적인 사회 분위기를 조성할 예정이다.
국내 현충시설 관리뿐만 아니라 해외 독립운동 사적지에 대한 보존 노력도 지속된다.
국내와 함께 24개국 1천32곳에 달하는 국외 독립운동 사적지의 경우, 외교부·재외동포청·독립기념관 등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관리와 보존에 힘쓰고 있다고 보훈부는 설명했다.
특히 보훈부는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협력하여 여순일본관동법원구지박물관, 항저우 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진강 대한민국임시정부사료진열관 등 중국 지역 독립운동 사적지 3곳에 고해상도 컬러 강판을 활용한 안내판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또한 몽골 이태준기념관에도 다음 달 추가 안내판을 설치하는 등 국외 독립운동 사적지의 보존과 관리를 위해 다각도로 노력할 방침이다.
이는 선열들의 발자취가 남은 해외 유적지의 보존을 통해 독립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민족정신을 계승하는 중요한 작업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