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유해발굴 협력 정례회의.사진=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연합뉴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이근원 단장이 지난 3일부터 10일까지 미국을 찾아 한미 유해발굴 협력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6·25전쟁 참전 용사들의 유해를 찾아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양국의 굳건한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된다.
지난 6일(현지시간)에는 미국 워싱턴DC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 Defense POW/MIA Accounting Agency) 본부에서 한미 유해발굴 협력 정례회의가 열렸다.
2011년부터 매년 주기적으로 개최되는 이 회의에서 이근원 단장과 켈리 맥케그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 국장은 유해의 상호 봉환 시기 등을 논의했다.
현재 미국에서 한국으로 봉환될 유해는 7구, 한국에서 미국으로 봉환될 유해는 3구이며, 봉환 시기로는 6월 호국보훈의 달과 유엔군 참전의 날 등이 거론되었다.
특히 6·25전쟁에 유엔군 일원으로 참전했다가 전사한 튀르키예군 유해 4구의 인수는 이달 중 실시하기로 했다.
이 유해들은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에서 보관하고 있던 것으로, 1996년부터 2005년까지 북한 지역에서 북미가 공동 발굴한 유해 3구와 1984년부터 하와이 국립묘지 재개장 과정에서 발굴된 무명용사 유해 1구다.
이들 4구의 유해는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과 유엔군사령부를 거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인수한 뒤, 오는 11월 재한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될 예정이다.
이근원 단장은 이번 방미 기간 중 미국 참전용사들의 증언을 직접 청취하며, 전사자 유해를 찾기 위한 대한민국 국방부의 지속적인 노력과 성과를 발표하여 국제사회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켈리 맥케그 국장은 이근원 단장에게 민간 부문 공로훈장을 수여했다.
이 훈장은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에서 민간인에게 수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등급의 메달로, 한국의 유해발굴 노력이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