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방문한 김용범 정책실장(왼쪽)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22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에 입국한 뒤 취재진과 문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자리에서 한미 관세·무역 협상 진척을 밝히며, 양국 간 논의가 “꽤 마지막까지 와 있다”고 평가했다.
김 실장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미국 측 협상 대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의 후속 논의를 위해 재방미했다.
김 실장은 취재진과 만나 “양국 간 협상을 몇 달째 진행해 왔으며, 지난 몇 주간 매우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자세로 쟁점들에 대해 진지한 논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측 입장에서 협상에 진전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양측이 계속 만나는 것은 진전이 있었다는 증거”라고 답했다.
김 실장은 지난 19일 귀국한 지 사흘 만에, 김 장관은 20일 귀국 후 이틀 만에 미국을 재방문한 것이다.
김 실장은 “많은 주제에서 의견이 많이 근접해 있고, 한두 가지 주제에서 양국의 입장이 차이가 크다”며, 지난 협상 당시 러트닉 상무장관과 4시간 이상 논의하며 저녁 식사도 함께한 점을 언급했다.
그는 미국 측이 완강한 입장에 대해 본국 보고와 다른 부처 협의를 통해 재논의하겠다는 의견을 시사한 바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 측이 재방미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미 관세협상 위해 방미한 김용범 대통령실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한미 관세협상을 위해 22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에 입국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김 실장은 협상 과정의 어려움을 인정하며 “중요한 쟁점에서 각자 입장을 밝히다 보면 기존 잠정 합의 부분까지 연결돼 후퇴할 수 있어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많은 쟁점에서 이견이 조율됐으며, 이번 추가 주제에 대해 미국 측이 한국 입장을 더 진지하게 이해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이번 협상은 오는 10월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미 정상회담에서 성과를 도출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양국은 관세율 조정과 무역 불균형 해소 등을 주요 의제로 다루고 있으며, 한국 측은 국익 최우선 원칙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