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새 무기체계 극초음속 비행체 시험 발사
북한 미사일총국은 지난 22일 중요 무기체계의 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3일 보도했다. 통신은 "평양시 력포구역에서 북동방향으로 발사된 2개의 극초음속비행체는 함경북도 어랑군 궤상봉등판의 목표점을 강타했다"고 전했다. 이번 시험발사는 박정천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과 김정식 군수공업부 제1부부장, 장창하 미사일총국장이 참관한 가운데 진행됐다.사진=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22일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하며 '이재명 정부' 들어 첫 무력 도발에 나섰다.
군 전문가들은 이 미사일이 이달 초 공개된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1마'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특히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정상회의를 앞두고 남한의 대공 방어망 무력화와 대외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는 지적이다.
북한은 23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전날 평양시 역포구역에서 함경북도 어랑군 궤상봉등판 목표지점으로 극초음속비행체 2발을 시험 발사했다고 밝혔다.
북한 발표에 따르면 발사 지점에서 탄착 지점까지의 거리는 약 400킬로미터(km)에 달한다.
하지만 우리 군 합동참모본부(합참)는 전날 미사일이 황해북도 중화 일대에서 발사되어 약 350킬로미터(km)를 비행했다고 발표했다.
북한과 우리 군의 발표는 발사 지점에서 약 5킬로미터(km), 사거리에서 약 50킬로미터(km)가량 차이가 나며, 우리 군의 탐지 능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은 미사일의 구체적인 기종이나 세부 제원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신형 극초음속 비행체라고 언급한 점을 미루어볼 때 이달 초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5'와 지난 10일 조선노동당 창건 80주년 열병식에서 공개된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1마'로 분석된다.
'화성-11마'는 북한판 이스칸데르(Iskander)로 불리는 단거리 탄도미사일 케이엔(KN)-23 발사체에 극초음속 활공체(HGV, Hypersonic Glide Vehicle) 탄두를 장착한 글라이더형으로, 불규칙한 비행궤적과 마하 5(음속 5배) 이상의 속도로 대기권 내 변칙 기동을 통해 기존 미사일 방어망을 회피할 수 있어 '게임 체인저'로 불린다.
하지만 우리 군은 북한 미사일 궤적에서 극초음속 미사일의 특징인 활공이나 회피기동은 탐지되지 않았으며, 단거리탄도미사일의 궤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군 관계자는 "400킬로미터(km) 수준에서 활강이 가능할지 의문"이라며 김정은의 불참과 발사 사진 미공개 등을 근거로 미사일 시험이 정상 진행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손석락 공군참모총장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극초음속 '화성-11마' 미사일인지 여부는 아직 평가 중"이라고 밝혔다.
북한 열병식에 등장한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1마'
지난 10일 평양에서 열린 노동당 창건 80주년 열병식에 등장한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1마'.사진=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이번 시험 발사를 통해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기술 확보 수준을 평가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진단하며, 앞으로도 북한이 지속적으로 미사일 시험 발사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는 북한이 한국과 미국 등을 직접 거론하지 않으며 수위를 조절했음에도 불구하고, "사거리상 남측을 겨냥한 무기이며, 에이펙(APEC) 국내 개최를 염두에 둔 정치적 목적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경주까지 사거리가 도달할 수 있는 미사일 시험 발사로 긴장을 고조시키고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의도"라고 덧붙였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며, 이번 발사 또한 유엔 결의 위반에 해당한다.
이재명 정부의 미흡한 대응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다.
대통령실을 포함한 국방부, 외교부 등 외교안보 당국은 이번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별다른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
합참 역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만 밝혔을 뿐, 북한의 미사일 도발을 명확히 규탄하지 않았다. 이는 북한과의 군사적 긴장 완화 및 신뢰 회복을 추진하는 이재명 정부의 기조가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반면 주한미군은 이례적으로 입장문을 내고 북한의 도발을 "불법적이고 불안정을 초래하는 행위"로 규정하며 강력하게 비판했으며, 미국 국방부와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 측도 규탄 입장을 밝혔다.
이재명 정부의 이번 로우키(Low-key) 대응이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을 억제하고 대한민국의 안보를 지켜낼 수 있을지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