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에 창간했다. 인터넷 뉴스 창간 전에 시스템 작업을 완료하고, 비봉출판사에서 출간한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3권 중 제1권을 지난해 9월 20일부터 올해 9월 19일까지 당시 보도 날짜를 따라 그대로 전재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약 125년 전의 시대상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독자들은 매일 혹은 며칠에 한 번씩 연재된 논설문집을 보면서 1권을 읽었다. 이제 창간 1주년을 맞아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에는 서재필이 조직한 학생청년회 ‘협성회’ 토론회를 이끈 이승만이 ‘협성회보’ 제작 편집을 맡았던 신문에서 수록한 것과 23세의 이승만이 '매일신문’을 창간 후 수록한 것 그리고 한성 감옥 복역 중(1899년~1904년)에 비밀리 집필하여 감옥 밖으로 보내 제국신문에 게재했던 수백 편의 논설 중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는 공화국이다. 공화국으로서 건국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은 현재의 시대 사람들에게는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잘못된 인식과 나쁜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하지만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 당시 대통령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미 그는 유일 후보로 최소 득표수를 너끈히 넘긴 당선자였다.
예나 지금이나 아랫사람 관리를 잘못하면 윗사람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지만, 이 나라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에게는 그 잣대가 너무도 가혹해 그의 훌륭한 업적은 논하는 것조차도 불편하게 되었다.
그러나, 만고의 진리 중 진실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론계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절대 변하지 않은 진실과 바로 잡아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서 다음의 내용은 제일 우선시 되어야 만이 이 땅에 살아 숨 쉬고 있는 모든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98년 4월 9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지인 '매일신문’이 창간한 날이다. 이 신문을 창간한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다. 그는 무지한 국민을 하루빨리 계몽해서 '똑똑한 국민’으로 만들고 싶어서 신문을 창간한 것이다.
하지만,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1896년 4월 7일 창간해서 오늘날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서재필의 피는 한국인지 모르지만, 그는 미국인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전시된 서재필에 관한 내용을 보면, 그는 이 땅에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당시 그는 철저히 미국인이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된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을 바꿔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인 '이승만’이 최초로 신문을 만들었다. 훗날 그는 대한민국의 건국 대통령이기도 했다.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인 만든 신문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로 정하자는 주장을 제기한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새롭게 평가하고, 그의 업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5월10일 제국신문 제5권 제102호에 실린 논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사람마다 권하오)
전일에도 누차 말한 바이거니와, 백성이 태평 부요하자면 나라가 부강 안락하여야 될 것이고, 나라가 부강 안락하자면 그 나라의 신민된 자들이 일을 하여야 되리니, 우리 대한에 신민 된 자는 다 누구누구요, 우리가 다 신민이라, 만일 근본을 궁구하여 가까이 말하자면, 각기나 하나가 이 나라 신민이니 나 하나가 일하면 내 나라가 부강 문명할 것이오. 나 하나가 일을 아니하면 전국 인민이 다 각기 나 하나식이니, 다 각기 서로 믿고 일하는 자 없으면 나라가 어찌 스스로 부강 문명하리오.
시래 풍송 등왕각(時來 風送 滕王閣: 때가 되면 바람이 등왕각으로 보내준다)이라 함은 실지 공부하는 자의 심히 어리석게 여기는 바니, 이런 자들은 말할 것 없거니와, 우리 좀 유지각(有知覺) 하다는 자들이 또한 이런 어두운 말을 믿고 자연히 될 줄을 믿고 앉아서 걱정들만 하여셔야 무슨 효험이 있으리오. 마땅히 나 먼저 일하여야 될지라. 우리 대한의 신민 된 이들이여, 각기 힘써 보지 않으려 하나요.
나라를 위하여 일한다 함은, 다만 큰 권세를 잡고 큰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마다, 남녀 물론하고, 심지어 어린아이까지라도, 각기 저 당한 처지대로 애국하는 충심으로 열심히 하여, 크나 적으나 이국평민(利國平民)할 일에는 계제(階梯)와 기회를 만나는 대로 힘쓰는 것이 실로 나라 위하는 일이라. 이천만 명의 화복 안위에 관계한 크게 공변된 일을 할 때에 어찌 한두 사람이 혼자 하여 되리오. 설령 집정대신이나 관찰사 군수의 힘으로 하려고 할지라도 전국 백성이 못하게 하면 좋으나 언짢으나 될 일이 없고, 만일 백성이 하려고만 할진대 관원 네가 아니하려 하기로 아니 될 수 있으리오.
그런즉 지금 우리나라에 관원 되신 이들이 일을 잘못 조처들 한다. 좋은 방침을 시행치 않는다. 탐학과 협잡을 무단히 행한다 하여 모든 이런 일로 남을 시비하고 칭원(稱寃)하는 것이, 실상은 모두 우리 백성들이 글러서 다 각기 일 아니학 직책을 담당치 못하며, 권리를 찾지 못하는 까닭이오, 백성이 의뢰가 없고 도탄이 날로 심하다, 생애가 없고 이익이 적어서 일하여 먹고 살 도리가 없다 하는 것이 실상은 다 우리가 우리의 일을 아니하여 이러함이라.
범백 일을 다 그 근본을 캐어보면 모두가 우리가 일 아니하여서 우리가 해를 당하고 앉은 것이라. 이것을 알진대 오늘부터라도 일하는 사람들 되어 보고자 아니하겠는가. 생각건대 사람의 마음 가진 자는 다 이런 말을 들으면 힘써 보고 싶은 마음이 있을지라. 그러나 무엇을 어찌하면 나라를 위하여 유조할 일이 될는지 몰라서 알고자 하는 자도 또한 없지 않을지라. 한 가지를 제일 긴요한 것으로 설명하겠노라.
지금 이 처지에 앉아 참 나라에 유조하고 백성이 안락하자 하면 반드시 실제로 개명주의(開明主義)를 질정하여 차차 주의가 성취된 후에야 능히 부강 안락할 날이 있을지라. 탐관오리(貪官汚吏)도 없어질 것이고, 두국해민(頭局解悶)하는 자들이 용납지 못할 것이고, 이용후생(利用厚生)할 일이 날로 흥왕 될 것이고, 생애와 이익이 점점 많아져 기한곤궁(飢寒困窮)을 면치 못하는 자 점점 없어지고, 태평 부강한 복을 서로 누릴지라. 개명주의의 성취 되고 못 되기가 어찌 우리나라와 백성의 명맥(命脈) 소관이 아니리오.
이 주의를 성취 시키자면 전국 백성으로 하여금 다 그 관계를 깨닫게 한 후에야 될 터인데, 그 관계를 알게 하여 주는 법은 여러 가지라. 그 중에 학교 설시하기와, 서책 만들어 전파하기와, 연설로 세상 형편을 알게 하여 경향을 물론하고 집마다 사람마다 이르고 깨우쳐야 처음은 듣기 싫어하며 미워하다가도 필경은 이 중에서 깨어나는 법이거늘, 이 몇 가지는 지금 졸지에 행할 일이 못 되고, 다만 신문 한 가지가 있어 여러 가지를 능히 대신할 만하니, 이것을 널리 전파하여 경향 관민이 남녀노소를 다 보게 하여야 할 터이거늘, 이것도 보는 자 겨우 이천여 명가량이니, 그 나머지 일천팔백여만 명은 신문이 어떤 것인지도 잘 모르는 모양이라. 이런 천지에서 어찌 국민의 발달을 희망하리오. 위선 신문 한 가지를 널리 전파하는 것이 제일 급선무라.
이것을 보고 옳게 여기는 이들을 당장에 작정하고 심지어 부지간에 수고를 아끼지 말고 권면하여, 신문의 주의를 말하고, 어떤 신문이든지 다 택하여 깊이 주의하여 보고 깨닫는 것이 생기게 하며, 깨닫는 대로 남을 권면하여, 한 사람이 열 사람에게 전하고, 열 사람이 백 사람에게 전할진대, 얼마 동안에 전국 인민이 다 보게 되겠도다.
(다음 호는 1월 31일 제5권 제103호)
<편집자 주>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는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의 편집자다. 1970년에 서울상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80년에 비봉출판사를 설립했다. 그는 1994년에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를 역임했고, 1966년에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기봉 대표의 열정적인 협조 덕분에 독자들은 당시 시대상과 함께 젊은 이승만의 사고와 사상을 엿볼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큰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연재 중에 어떤 독자는 "이렇게 훌륭한 글들이 우리가 배운 교과서에 단 한 점도 실리지 않았다는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고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다"라고 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이 대한민국 교과서에 실리는 그날을 기다리며,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이번 연재는 지난 1권처럼 당시 보도된 날짜가 아닌 월, 수, 금요일 순으로 하여 1주일에 3번 전재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