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우정 검찰총장은 1일 전격 사의를 밝혔다.
그는 200자 분량 입장문에서 “검찰총장의 책무를 내려놓는다”며 “지금 직을 내려놓는 것이 마지막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12·3 비상계엄과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 수사가 특검으로 넘어갔고,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 봉욱 민정수석, 이진수 법무부 차관 지명으로 새 정부 법무·검찰 지휘라인이 갖춰진 점을 고려한 판단으로 보인다.
심 총장은 이재명 정부의 수사·기소 분리 등 고강도 검찰 개혁에 우회적으로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형사사법제도는 국민의 기본권과 직결된 문제”라며 “시한과 결론을 정해놓고 추진하면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학계와 실무계 의견을 충분히 듣고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검찰청 폐지 등 여권의 개혁 방안을 직접 비판하지는 않았다. 이는 김오수 전 총장의 ‘검수완박’ 반대 사임보다 발언 수위가 낮다는 평가를 받는다.
심 총장은 지난해 9월 16일 윤석열 정부에서 임기를 시작했다.
그는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명품백 수수 의혹 수사에서 대통령실과 갈등을 빚은 이원석 전 총장의 후임으로 임명됐다.
검찰은 심 총장 취임 후 김 여사 사건을 무혐의 처분했다.
12·3 비상계엄 이후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를 구성해 신속히 수사를 지휘했으며, 4월 서울고검의 도이치 사건 재수사도 이끌었다. 그러나 법원의 윤석열 전 대통령 석방 결정에 즉시항고하지 않은 점 등으로 정치권 안팎에서 비판받았다.
더불어민주당은 심 총장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했다.
심 총장은 오광수 민정수석 임명 후 사의 의중을 밝혔으나, 오 수석의 부동산·차명 대출 의혹 낙마로 시점이 지연됐다.
이진수 차관 취임 전날 사의를 표명했다.
사직서가 수리되면 1988년 검찰총장 임기 2년 보장 법률 시행 이후 16번째 중도 퇴임 총장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