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5월12일 제국신문 제5권 제103호에 실린 논설.사진=국립중앙도서관

(생각하는 법)

서양 학사들의 말이, 오늘날 세계에 각색 기계가 첩첩이 생겨나서 사람의 지혜로 측량치 못할 일이 많다 하나, 아직까지도 사람의 육신기계 같이는 만들지 못하니, 실로 신기 정묘한 기계는 사람의 몸에 딸린 사지백체(四肢百體)라.

인조물(人造物)이 아무리 정긴(精緊)하나 천조물(天造物) 같이 만들수는 없나니, 서양 의학에 사지백체를 분해하여 놓은 것을 보면 참 기기묘묘하여, 심지어 털끝만한 것이라도 범연히 만든 것이 없나니, 만일 하나라도 달리 만들었더라면 우리도 육신을 어떻게 임의로 눌렸을는지 모를지라, 어찌 기이치 않으리오. 그러나 만일 이 육신 기계만 있고 헤드(head)가 없었더라면 시계나 자명종 등류 같아서 한번 틀어놓은 대로 항상 돌아갈 뿐이고 다른 변통은 없었을 터이니, 어찌 가고 싶을 때에 가며 오고 싶을 때에 오며, 안고 서며 자고 먹는 것을 어찌 제 임의대로 하리요.

만일 자의로 동(動)하는 권리가 없고 남의 힘을 빌어서 고동을 틀어주는 대로 움직일진대, 우리의 몸이 다 시계나 자명종이라, 시계와 자명종이 어찌 시계 자명종이나 다른 기계를 만들어 쓸 수 있으리오.

우리가 능히 각색 긴요한 기계와 물건을 만들어 쓰는 것은 다만 지혜 한 가지가 있어, 이 지혜로 능히 이 기계를 자의로 운동하며, 또한 이 기계 쓰기를 위하여 천지만물을 모두 부려 쓰게 마련이니, 이 지혜가 한량이 없어서 쓸수록 널리 발달되어 세상에 장차 못할 일이 없을지라. 어지 긴요치 않으리오.

하나님이 사람을 내시고 곧 이 지혜를 주사 만물의 주인이 되게 하시니, 마땅히 이 지혜를 넓혀 각색 천조물을 모두 쓰는 물건으로 만들어야 할지라, 성현의 글에 격물치지(格物致知)라 하는 것이 곧 이 뜻이 건마는, 이후 선비들이 이 뜻을 궁구치 못하여, 격물(格物)이 무엇이지 모르므로 물건의 이치를 캐어 사람이 쓰는 것을 만들지 못하였으므로, 다만 배 한 가지로만 보아도, 사천여 년 전에 지은 나무 배 조각이 오늘까지 한 모양이고 조금도 나아진 것은 없나니, 우리가 처음으로 지었을 때에 서양에서는 배 이름도 모를 뿐 아니라 그때까지 나라 이름들도 없었나니, 각색 개명이 다 동양에서 처음으로 생겨서 서양으로 들어갔으되, 지금 저 사람들은 각색 것이 다 우리보다 앞서서 우리가 도리어 배우게 될 뿐 아니라, 도리어 사람이 측량치 못할 일이라 하여 귀신의 조화라 하나니, 어찌 수치스럽고 분한(憤恨)치 않으리오.

당초 사람들이 생길 때에 서양인들의 재주가 특이하여 그러한 것이 아니라, 다만 다 같이 풍부한 지혜를 잘 쓰고 못쓰기에 달렸나니, 지혜를 잘 쓰는 법은 아무 다른 것이 없고, 다만 생각하고 아니하기에 있는지라. 저 사람들은 한 가지 물건을 보면, 저것을 어찌하여야 더 경첩(輕捷)하고 좋게 만들까 하여 천만번 생각하므로 필경 나은 도리를 터득하며, 그 후 사람이 또 더 생각하여, 화륜선 한 가지가 될 적에 몇 사람이 확장하여 된 것이니, 아직도 부족하여 더 경첩하게 만들려고 주야 생각하며 토론하는 중이라. 백만 사를 이렇게 하여 가지고 저렇듯 되었으므로, 작년 일 년 동안에 미국 안에서 부인네가 새로 발명하여 낸 물건이 오십여 가지라. 해마다 남녀 합하면 장차 어떻게 진보되겠느노.

우리나라 사람들은 다만 보기 쉬운 기계만 보고 하는 말이, 서양 사람들이 물건 제조에는 통리(通理)하였다 하나, 격물학(格物學)이 어디서 생기느뇨. 다만 사람의 궁리에서 생긴 것이니, 물건을 저렇듯 궁리할 때에 정치와 교화는 또한 어떻게 궁구하였겠느뇨. 그 사람의 성리학을 살필진대 실로 지정지미(至精至美)한지라. 사람마다 이 학문을 공부하면 다들 박사가 될지라. 마땅히 힘들 쓸 일이거니와, 가장 급히 힘쓸 것은 생각하는 법이라. 처음은 생각하기 괴로우나 차차 생각할수록 발달하나니, 법사를 심상히 보아 넘길 것이 아니라.

본 신문이 비록 정치학식에 통투(通透)한 것은 없으나, 교화와 성리논란에 연래 섭렵한 것이 또한 적지 않은지라. 연속해서 내는 말이다 각국 박사들이 의논하여 놓은 것 중에서 빼어 시세형편에 이끌어 알아듣기 쉽도록 만드는 것이니, 보는 이들이 십분 주의하여 널리 궁구하여 볼진대 자연 깨닫는 것이 적지 않을지라. 깨닫는 대로 행하기를 힘쓸진대 하늘이 내신 육신 기계와 그 속에 품부한 지혜를 요긴히 쓰게 만들러라.

(다음 호는 7월14일 제5권 제106호)

※ 편집자 주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지면을 빌려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