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5월22일 제국신문 원문.사진=국립중앙도서관

▶ 이승만의 번역서 권장하는 글

(무술정변(戊戌政變) 개론
향자(向自)에도 백당 선생 현채 씨가 신학문에 유조한 서책을 많이 번역하여 낸 공효를 말하였거니와, 무술년에 청국이 사변이 일어난 전후 사적을 번역하였는데, 당시에 유명한 선비 강유위(康有爲), 양계초(梁啓超) 등 제씨의 행적과 서태후(西太后)와 광서(光緖)황제의 행한 일이며, 각 친왕 대신들과 리홍장(李鴻章) 등 대관들의 용심(用心)하는 것과, 어찌 되어 전국을 소동(騷動)하고 세계에 동병(動兵)을 만든 모든 정형이 소상하여, 한번 보면 청국 사정과 동양 형편과 천하 태도가 어찌 변하는지 그 실상을 가히 알만한지라.

국한문으로 섞어 번등하여 여간 한문자나 아는 자는 알아볼 만하니 이런 서책이 대한 선비들에게 가장 긴요하니라. 자고로 청국은 대한과 사기(事記)상이나 태도상이나 정치상에 항상 상득(相得)한 관계가 있는 고로, 근일 처지를 보아도 또한 같은 것이 많아서, 각국이 청국에 대하여 하는 일은 대한에도 또한 행하려 하나니, 이때에 신민 된 자 나라 형편을 몰라서 못 쓰겠고, 만일 알려면 이 책이 밝은 거울이 될지라, 어찌 요긴치 않으리오.
현 씨가 그 긴요함을 택하여 이일상 씨와 서로 찬조하여 발간하였는데, 당초 그 뜻인즉, 이런 책을 백여 국민의 지혜를 늘리기에 효험이 있게 하여 가지고 번역소(飜譯所)의 한 기초를 잡자 함이러니, 책을 백여 낸 지 얼마 동안에 보기를 즐겨하는 자 없어 묶어 두어 폐물 되기를 면치 못한다 하니, 극히 한심한 일이다.

지금 국세를 걱정한다. 민폐를 근심한다. 관원이 농법 탐장(弄法貪贓)한다. 백성이 각기 직책을 못한다 하는 것들이 다 근본인즉 학식(學識) 없는 데서 생긴 것이라. 이것을 고치자면 학식을 안 연후에야 되겠고, 학문을 얻자면 서책을 보아야 될지라. 사람이 새 학문을 보면 지금 세상을 알며, 세상을 안즉 자기 나라와 백성의 내두(來頭)를 위하여 걱정이 생긴즉, 그 중에서 충분(忠憤)한 혈기가 생기며, 혈기가 생긴즉 몸이 의(義) 자리에 죽어서 길게 영광스러운 것이 좋은 줄로 큰 욕심이 생기나니, 백성이 이 마음이 생긴 후에야 비로소 나라에 원기가 있어서, 국중에 대포 한 자루가 없어도 외국이 실례하기를 어렵게 여기며, 이 마음이 없으면 백만 명 군사라도 평시는 위엄이 장하다가 위태한 땅만 당하면 사사 마음이 이기어 서로 빠지기로 위주하나니, 누가 어렵게 여기리오.

지금 개화(開化)에 가깝다 하는 자들의 의론을 들으면, 무슨 일은 급히 행할 것이고 무엇은 급히 폐할 것이라 하여 고담준론(高談峻論)이 흡사한 고명학사(高名學士)라. 외국 언어문자도 통하며, 각국 사정도 더러 안다 하는 자들도 그 행위를 보면 모르는 사람만 못한 자 많으니, 이는 다름 아니라 충애(忠愛)의 열심이 생기지 못함이니, 국민의 열심을 배양하여 원기를 붙들고자 할진대 이런 서책을 많이 보아야 능히 될지라. 유지한 자 어찌 권면치 않으리오.

그러나 지금 이 밤 중에 앉은 사람들이 이런 연고는 모르고 다만 서로 잔해(殘害)하며 서로 원망하니, 어찌하면 저 칠야(漆夜)에 앉은 사람들을 깨우쳐 이 연유를 알게 하리요. 이는 선각(先覺)한 자들의 직책이 더욱 무겁도다.

이런즉 직책을 행하고자 할진대 순편(順便)하기를 도모하고는 못될지라. 마땅히 목숨을 버리기까지 힘쓰기로 작정할지니, 이것을 먼저 질정(叱正)하여야 될지라. 대개 사람의 마음이 각각 자기의 믿는 것을 좋아하고, 믿지 않는 것을 싫어하는 법이니, 이 천지에 생장하여 수신제가 치국평천하(修身齊家 治國平天下)하는 법이 우리 성현 네 끼치신 고서(古書)에 넘치는 것이 없는 줄로 알아, 지금이라도 이것만 통하여 가지면 만국을 다 억제할 만하다 하나니, 이것을 버리고 남의 정치 학식을 보라 하면 좋게 여길 자 어디 있으리오. 오늘날 이 관계를 아는 이도 몇 해 전에는 저 사람들과 같았나니, 저 사람들도 전에 나와 같이 이런 말 권하는 자를 해코지 하는 것이 괴이치 않은 이치라. 저 사람의 싫어함을 인연하여 권면치 못하면 어찌 듣고 깨우리요.

그런즉 친불친 간에 그 싫어함을 헤아리지 말고 알아듣도록 권하여, 여러 번을 들으면 비로소 생각이 변하여 스스로 알기를 힘쓰므로, 한 번 아는 날은 곧 나와 같은 사람이라, 마땅히 위태함을 불계하고 끝끝내 권면하여 전국이 다 나 같이 되기를 힘쓸지어다.

바라건대 유지하신 이들은 헛걱정만 하지 말고 이런 번역소를 힘대로 찬조하여 혹 재정도 연조(捐助)하며 혹 책권도 널리 전파하여 집집이 사람마다 새 학문을 숭상하여 국중에 문풍(文風)이 번성한 후에야 발달할 기틀이 생기리라 하노라.

(다음 호는 7월19일 제5권 제119호)

※ 편집자 주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