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에 창간했다. 인터넷 뉴스 창간 전에 시스템 작업을 완료하고, 비봉출판사에서 출간한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3권 중 제1권을 지난해 9월 20일부터 올해 9월 19일까지 당시 보도 날짜를 따라 그대로 전재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약 125년 전의 시대상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독자들은 매일 혹은 며칠에 한 번씩 연재된 논설문집을 보면서 1권을 읽었다. 이제 창간 1주년을 맞아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에는 서재필이 조직한 학생청년회 ‘협성회’ 토론회를 이끈 이승만이 ‘협성회보’ 제작 편집을 맡았던 신문에서 수록한 것과 23세의 이승만이 '매일신문’을 창간 후 수록한 것 그리고 한성 감옥 복역 중(1899년~1904년)에 비밀리 집필하여 감옥 밖으로 보내 제국신문에 게재했던 수백 편의 논설 중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는 공화국이다. 공화국으로서 건국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은 현재의 시대 사람들에게는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잘못된 인식과 나쁜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하지만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 당시 대통령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미 그는 유일 후보로 최소 득표수를 너끈히 넘긴 당선자였다.
예나 지금이나 아랫사람 관리를 잘못하면 윗사람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지만, 이 나라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에게는 그 잣대가 너무도 가혹해 그의 훌륭한 업적은 논하는 것조차도 불편하게 되었다.
그러나, 만고의 진리 중 진실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론계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절대 변하지 않은 진실과 바로 잡아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서 다음의 내용은 제일 우선시 되어야 만이 이 땅에 살아 숨 쉬고 있는 모든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98년 4월 9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지인 '매일신문’이 창간한 날이다. 이 신문을 창간한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다. 그는 무지한 국민을 하루빨리 계몽해서 '똑똑한 국민’으로 만들고 싶어서 신문을 창간한 것이다.
하지만,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1896년 4월 7일 창간해서 오늘날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서재필의 피는 한국인지 모르지만, 그는 미국인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전시된 서재필에 관한 내용을 보면, 그는 이 땅에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당시 그는 철저히 미국인이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된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을 바꿔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인 '이승만’이 최초로 신문을 만들었다. 훗날 그는 대한민국의 건국 대통령이기도 했다.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인 만든 신문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로 정하자는 주장을 제기한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새롭게 평가하고, 그의 업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2월19일 제국신문 제5권 제34호에 실린 논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본사 사적이라)
오호라, 세월이 덧없도다. 금년이 벌써 광무 6년이니, 본사 설시(設施)한 지가 어언간 칠년이 된지라. 그동안 난처한 사정과 위험한 처지와 군박(窘迫)한 경우를 갖추 겪고 오늘까지 근근이 지탱하여 오는 정형을 낱낱이 생각하면 자연 상심되는 구절이 많은 중에, 부지중(不知中) 진퇴(進退)된 것이 또한 적지 않은지라. 우리 동포들을 권면하는 본의에 유조함이 없지 않기로 대강 빼어 기재하노라.
자초(自初)로 대한이 외국과 문호를 상통하지 못하고 우물 안 고기로 지낼 적에, 타국이라고는 청국과 일본이나 하늘 가 바다 건너 멀리 있는 줄로 알 뿐이오. 영 미 등 국은 당초에 이름도 듣지 못하다가, 수십 년 전에 와서야 세계에 물밀 듯 들어오는 큰 형세를 막지 못하여 필경 통상조약을 정하니, 비로소 일, 미, 영 각국의 영사관이 경성에 들어와 주차(駐箚)하나 백성은 아는 자 없고, 혹 노상에서 한두 사람의 내왕하는 것을 보면 그 의복과 면목(面目)의 기괴함을 조소할 따름이오, 그 사람들의 학문, 기계(奇計)며 부강, 문명함이 어떠한지 전연 부지(不知)하며, 정부에서는 부득이 그 오는 것을 받으나 다 이전 소위 해외 오랑캐라 하던 인물로만 알고 지내며, 외국이 대한을 이름 하되 산중에 사는 처사국(處士國)이라 하다가 차차 수모(授侮)하는 마음이 생기며, 인하여 서로 넘겨다보는 뜻이 나는지라.
이 중에 서로 승강(昇降)이 되어 갑오전쟁이 일어나 전국을 흔들어 놓은 후에야 비로소 외국 교섭이 가까워지며, 관민 간에 외국에 나가는 자 날로 많아 외국풍속, 물체를 구경하고 돌아와서 혹 제도 고치기를 주의하는 자도 있고, 의복 고칠 의론도 내는 자 있어, 아침에 내린 령이 저녁에 고치기도 하고, 오늘 나섰다가 내일 들어가기도 하여, 지금까지도 동으로 갈는지 서로 갈는지 작정이 없이 물결치는 데로 바람부는 대로 딸려 다니니, 백성은 되어가는 것을 보고 말하되, 우리나라는 아무리 하여도 개화가 아니 되리라 하나, 시험하여 길에 나가 보라, 십년 이전과 물색이 의구(依舊)하다 하겠느뇨. 각기 몸에 딸린 물건과 집에 일용 집물(什物)을 보라. 십년 전에 다 쓰고 보던 것뿐인가. 깊이 생각하는 사람은 인정과 물색이 날로 변하여 가는 것을 황연히 깨달을 듯하도다.
이때에 국가 장래를 깊이 염려하는 선비들이 있어 전국 사람에게 천하 형편을 알려주기로 힘쓰고자 하나, 다른 도리 없고, 다만 신문을 발간하여 날마다 인민의 이목(耳目)을 열어주는 데 지나는 것이 없는지라. 그러하나 각국에 신문 규식이 본래, 착한 자는 들어내고 악한 자는 쳐서 일호도 압제와 속박하는 것이 없어야 비로소 개평(槪評)한 주의를 잃지 않을 것이거늘, 그때 우리나라 형편은 그렇지 못한지라. 한두 동지, 한 친구를 대하여 누차 발론한즉, 인개(人皆) 왈(曰), 이는 외국인이나 할 일이지 우리나라 사람은 생각도 못할 바라 하는데, 그때에 신문이라고는 미국인에게 속한 독립신문(獨立新聞)과 일인의 한성신보(漢城新報)가 있어, 혹 우리나라 정부 관계에 대하여 무단히 시비를 논란하되, 우리는 일호도 그 사람들의 시비를 말할 계제가 없으니, 이는 당당한 자유 권리를 가지고도 수족을 결박당하여 남의 매가 내 몸에 오는 것을 능히 막지 못하고 죽기를 앉아 기다림이라, 어찌 통분치 않으리오.
이때에 정동 배재학당에서 학도들이 교육 토론회를 설시하여 이름을 협성회(協成會)라 하고, 학문상 문제로 매 토요일에 토론할 때, 학원들의 식견이 날로 발달하여 회가 매우 흥왕하여 가는지라. 그 회중에서 발론하고 회보 한 장을 발간하는데, 장광(長廣)은 거의 본사 신문만 하고, 이름은 협성회보라 하여, 매 주일에 한 번씩 발간하므로 날로 성취되어 사보는 자 많은지라. 이것을 확장하여 자주 내고자 하나 그때에 주자 활판이 없어 남의 활판에 붙여 박는데, 자주할 수 없고 또한 재정이 망연한지라. 그러나 몇몇이 열심히 하는 자의 뜻을 버리지 않고 회중에 발론하여 간절히 청훈(請訓)하자 유지한 몇몇 분이 재정을 모아 삼백 원을 연조하는지라.
이 재정을 맡아 가지고 이문사(以問社) 활판을 세내어 남대문 안에 신문사를 정하고, 전혀 우리나라 사람들이 주장하여 날마다 발간하며 이름을 매일신문(每日新聞)이라 하니, 이것이 처음으로 대한 사람이 설시하여 대한 사람이 내는 시초이니, 매일신문은 곧 신문의 아명(兒名)이로다. 내일 논설을 보시오.
(다음 호는 12월 20일 제5권 제35호)
<편집자 주>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는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의 편집자다. 1970년에 서울상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80년에 비봉출판사를 설립했다. 그는 1994년에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를 역임했고, 1966년에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기봉 대표의 열정적인 협조 덕분에 독자들은 당시 시대상과 함께 젊은 이승만의 사고와 사상을 엿볼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큰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연재 중에 어떤 독자는 "이렇게 훌륭한 글들이 우리가 배운 교과서에 단 한 점도 실리지 않았다는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고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다"라고 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이 대한민국 교과서에 실리는 그날을 기다리며,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이번 연재는 지난 1권처럼 당시 보도된 날짜가 아닌 월, 수, 금요일 순으로 하여 1주일에 3번 전재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