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기정 사용자위원, "최저임금은"

최저임금위원회 사용자위원인 류기정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가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제10차 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근로자위원인 류기섭 한국노총 사무총장.사진=연합뉴스

최저임금위원회는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10차 전원회의에서 내년도 최저임금을 1만210원(1.8% 인상)~1만440원(4.1% 인상)으로 하는 심의 촉진구간을 제시했다.

공익위원들은 노사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자 양측 의견을 반영해 이 구간을 내놨다. 노사는 이 구간 내에서 수정안을 제시해 합의하거나 표결로 최저임금을 결정한다.

공익위원들은 하한선 1만210원이 올해 최저임금(1만30원) 대비 1.8% 오른 금액으로, 내년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를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상한선 1만440원은 국민경제 생산성 상승률 전망치(2.2%)와 2022~2024년 누적 소비자물가상승률 및 최저임금 인상률 차이(1.9%)를 더한 금액이다.

2026년도 최저임금 노사 요구안 변동 추이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제10차 전원회의에서 공익위원들은 노사의 간격을 줄이기 위한 '심의 촉진구간'으로 1만210원(1.8% 인상)∼1만440원(4.1% 인상) 사이를 제시했다. 공익위원들은 노사 이견이 좁혀지지 않자 양측의 의견을 들어 심의 촉진구간을 내놨다.사진=연합뉴스


노사 협상은 8일 오후 3시부터 장시간 이어졌으나, 8차 수정안까지 간격을 720원으로 좁혔음에도 합의에 실패했다.

노동계는 심의 촉진구간이 지나치게 낮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미선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노동존중을 외치는 새 정부의 최저임금 수준에 분노한다”며 “촉진구간 철회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과거 노동계가 구간에 항의했으나 수정된 사례는 없다. 지난해 심의에서도 민주노총 위원 4명이 표결을 거부하며 퇴장, 27명 중 23명만 투표했다.

내년도 최저임금은 8월 5일까지 법정 고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