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육군장관 방한 미디어 간담회
대니얼 드리스콜 미국 육군장관(왼쪽)과 윌리엄 테일러 미8군 사령관 직무대행이 지난 1일 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에서 미디어 간담회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대니얼 드리스콜 미국 육군장관은 지난 1일 경기 평택 주한미군 기지 캠프 험프리스에서 열린 미디어 간담회에서 주한미군의 주요 임무가 북한과 중국의 위협에 모두 대응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드리스콜 장관은 기자들의 “주한미군의 주임무가 중국에 대한 것인가, 북한에 대한 것인가”라는 질문에 “둘 모두 기본적 위협”이라고 답하며 주한미군의 전략적 역할이 대북 억제뿐 아니라 대중국 견제와 대만해협 유사시 활용을 포함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미 동맹은 수십 년간 이어져 온 특별한 파트너십으로, 다른 동맹에서 찾기 힘든 신뢰를 구축했다”며 “한국군을 믿고 의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 동석한 윌리엄 테일러 주한 미8군사령관 직무대행은 “상호방위조약에 따라 동맹의 임무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어떤 위협에도 대응할 수 있는 강력하고 현대화된 전력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드리스콜 장관은 한반도의 최대 안보 위협으로 드론을 지목하며 “중국은 1천300만대, 러시아는 400만대의 드론을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드론은 인류가 직면한 새로운 차원의 위협”이라며 “한국과 실시간 정보 공유, 공동 대응, 다층방어 체계 구축이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미국은 최근 순항미사일과 드론 요격이 가능한 차세대 방공시스템인 간접화력방어능력(IFPC, Indirect Fire Protection Capability)을 오산 공군기지의 제35방공포병여단에 배치했다.

드리스콜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했듯 이 지역이 주요 위협”이라며 “강력한 동맹과 첨단 장비 투자가 필수”라고 밝혔다.

그는 “미군과 한국군이 최첨단 장비를 운용하도록 더 많은 자산이 이 지역에 전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방산 협력에 대해 드리스콜 장관은 “드론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한국군뿐 아니라 한국의 제조업체와 기술기업들과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며 “실시간 정보 공유와 공동 대응 솔루션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 곳곳에서 전쟁 양상이 급변하고 있다”며 “미군은 신속히 대응하고 동맹 및 파트너들과 실시간 데이터를 공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육군장관 방한 미디어 간담회
대니얼 드리스콜 미국 육군장관(왼쪽)과 윌리엄 테일러 미8군 사령관 직무대행이 1일 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에서 미디어 간담회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최근 미 국방부가 주한미군사령관 계급을 4성 장군에서 3성 장군으로 낮춘 논란에 대해 드리스콜 장관은 즉답을 피하며 “미 육군 본부 인원이 최근 수십 년간 과도하게 늘어났다”고 밝혔다.

그는 “의사결정 구조를 단순화하고 병력을 전방에 집중시키는 것이 핵심”이라며 “펜타곤의 과제는 비대화를 줄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은 지난 5월 관료주의와 중복 지휘 구조 간소화를 위해 현역 4성 장군 수를 20퍼센트(%) 줄이라고 지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