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에 창간했다. 인터넷 뉴스 창간 전에 시스템 작업을 완료하고, 비봉출판사에서 출간한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3권 중 제1권을 지난해 9월 20일부터 올해 9월 19일까지 당시 보도 날짜를 따라 그대로 전재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약 125년 전의 시대상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독자들은 매일 혹은 며칠에 한 번씩 연재된 논설문집을 보면서 1권을 읽었다. 이제 창간 1주년을 맞아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에는 서재필이 조직한 학생청년회 ‘협성회’ 토론회를 이끈 이승만이 ‘협성회보’ 제작 편집을 맡았던 신문에서 수록한 것과 23세의 이승만이 '매일신문’을 창간 후 수록한 것 그리고 한성 감옥 복역 중(1899년~1904년)에 비밀리 집필하여 감옥 밖으로 보내 제국신문에 게재했던 수백 편의 논설 중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는 공화국이다. 공화국으로서 건국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은 현재의 시대 사람들에게는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잘못된 인식과 나쁜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하지만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 당시 대통령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미 그는 유일 후보로 최소 득표수를 너끈히 넘긴 당선자였다.

예나 지금이나 아랫사람 관리를 잘못하면 윗사람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지만, 이 나라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에게는 그 잣대가 너무도 가혹해 그의 훌륭한 업적은 논하는 것조차도 불편하게 되었다.

그러나, 만고의 진리 중 진실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론계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절대 변하지 않은 진실과 바로 잡아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서 다음의 내용은 제일 우선시 되어야 만이 이 땅에 살아 숨 쉬고 있는 모든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98년 4월 9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지인 '매일신문’이 창간한 날이다. 이 신문을 창간한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다. 그는 무지한 국민을 하루빨리 계몽해서 '똑똑한 국민’으로 만들고 싶어서 신문을 창간한 것이다.

하지만,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1896년 4월 7일 창간해서 오늘날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서재필의 피는 한국인지 모르지만, 그는 미국인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전시된 서재필에 관한 내용을 보면, 그는 이 땅에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당시 그는 철저히 미국인이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된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을 바꿔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인 '이승만’이 최초로 신문을 만들었다. 훗날 그는 대한민국의 건국 대통령이기도 했다.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인 만든 신문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로 정하자는 주장을 제기한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새롭게 평가하고, 그의 업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2월24일 제국신문 제5권 제38호에 실린 논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일영(日英) 협상 조약이라)

일전에도 말하였거니와, 우리 본의가 백성이 교육상으로 더 힘쓰고 정치 득실에는 말을 하지 않고자 함이라. 말을 아니 할 수 없는 일이 종종 생기는 것은 우리도 또한 면치 못함이로다.

대개 일본과 영국이 약조를 정하였다는 주의를 들어 보시오.

一. 일영 양국이 대한과 청국의 황실과 토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서로 화평함을 위주하자 함이오.

一. 이 약조하는 두 나라 중에 어느 나라든지 타국과 전쟁이 생기거든, 한 나라는 마땅히 중립 권리를 지켜 그 적국 되는 나라를 찬조하지 못할 일이며,

一. 한 청 양국에서 타국이 무슨 이익을 얻거든, 이 약조하는 두 나라에서도 또한 그만한 이익을 얻자 함이오.

一. 일 영 양국이 한 청 양국에서 얻은 이익을 타국이 침해하거든, 양국이 협의하여 조치하자 함이오.

一. 한 청 양국에서 일 영 양국과 관계되는 이익을 타국이 손해하는 경우에는, 양국이 방비하기 위하여 함께 운동할 일이라. 이 약조 기한은 다섯 해로 작정한다 하였더라.

이상 다섯 가지 조건을 보건데, 청국과 대한을 아주 주인 없는 물건가지고 의론하듯 하였으니, 우리나라 신민들은 생각이 어떠하뇨. 청국은 천하 동병(動兵)을 시킨 후에 그 죄책을 의론하면 무슨 욕과 벌을 당하던지 혹 괴이치 않거니와, 안연히 지내어 가는 대한은 무슨 까닭에 청국과 함께 들어가느뇨. 그 연고는 장차 말하려니와, 그 관계를 먼저 설명하노라.

오늘날까지 우리나라 정부에서 외국인을 대하여 내정을 간에하지 말라, 혹 금광 철로를 주겠다 말겠다 하며, 대신이니 협판이니 영권(永權)을 누리는 것이 다만 독립 이름이 아직까지 부지한 까닭이라. 만일 남의 보호국이나 부용지국(附庸之國)이 되엇을 것 같으면 어디 가서 구경이나 하리요. 연전에 청국의 어떤 대관은 말하기를, 나라가 망하더라도 한 조각 토지는 남겨 적은 정부는 부지할 터이니, 적은 정부의 대신은 내가 잃지 않을 터이니 무슨 걱정하리요 하였는지라.

청국은 강토가 원래 크니 다 분할하여도 한두 대신 자리는 남기 쉬우려니와, 당초 작은 나라에야 소정부인들 어디 있으리요. 그런즉 해국병민(害國病民) 하는 신하에게도 독립 두 글자가 이렇듯 긴중하거늘, 우리나라에서는 독립을 어떻게 아는지, 근래에 독립당이라 하면 곧 역당(逆黨) 같이 여긴다 하니, 무엇을 독립당이라 하는지는 모르거니와, 대개 독립 두 자를 어떻게 값지게 여기는지 이로 보아 짐작할지라.

우리가 독립을 이렇게 여기는 고로 외국이 또한 우리를 이같이 대접하여, 우리나라를 마치 자기의 보호국 같이 대접하니, 누가 이렇게 만들었느뇨? 남에게 의뢰하기 좋아하는 자는 일 영 양국이 우리 황실과 토지를 보호하여 준다 함을 얼마간 다행이 여길 듯하거니와, 실상 독립국도 남의 보호를 받느뇨? 지금 구라파 각국을 대하여 누가 보호하여 준다 하겠느뇨? 당초에 그런 나라도 없거니와, 혹 이런 일이 있으면 그 독립권리 손해 받는 나라에서는 필경 큰 시비를 일으킬지라.

우리 대한은 이런 무리를 당하며 어찌 아무 말도 없느뇨? 이는 상하가 다 각기 일신상 이해만 생각할 뿐이오, 몸이 죽어 국권을 보호하여야 참 내게도 이(利)요 나라에도 이(利)되는 줄은 전혀 모르니, 이런 일에 분히 여기는 자도 없거니와, 설령 분한들 주야(晝夜) 행한 일이 모두 내 손으로 내 목 따는 일이니, 어느 곳을 대하여 개구(開口)를 하리오.

작년 청국 의화단 사변에 세계가 동병(動兵)하여 지척 이웃에 와서 토지를 분할한다, 정부를 변혁한다, 청국 황실이 동서에 파천(播遷)하며 전국 백성의 유혈이 성천(成川)하여, 세계가 분분하며 천지가 진동하는지라. 이때에 대한에서 적이 정신이 있었으면 저 청국 일이 정돈되는 날은 각국이 우리나라를 주목할 터이니, 이때에 밤낮 잠을 못자며 일을 하여도 이웃 불똥이 미치기를 면하기 어려웠을 것이거늘, 그 대신에 주야로 노래와 희락에 겨를이 없으며 시찰, 분주(奔走), 사내기에 골몰히 지내며, 혹은 섬 덩어리도 팔아먹고, 혹은 남의 돈도 좀 빼앗아 먹으니 자연 형세가 날로 위름한지라.

속으로 남에게 보호를 청하니, 세상에서 의심하기를, 우리나라 신하와 백성은 능히 토지도 보전 못할 줄로 치는 고로, 보존하여 준다, 이익을 두 나라가 협의하여 한다고 함이니, 어찌 남을 시비하리오.

(다음 호는 12월 29일 제5권 제39호)

<편집자 주>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는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의 편집자다. 1970년에 서울상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80년에 비봉출판사를 설립했다. 그는 1994년에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를 역임했고, 1966년에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기봉 대표의 열정적인 협조 덕분에 독자들은 당시 시대상과 함께 젊은 이승만의 사고와 사상을 엿볼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큰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연재 중에 어떤 독자는 "이렇게 훌륭한 글들이 우리가 배운 교과서에 단 한 점도 실리지 않았다는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고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다"라고 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이 대한민국 교과서에 실리는 그날을 기다리며,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이번 연재는 지난 1권처럼 당시 보도된 날짜가 아닌 월, 수, 금요일 순으로 하여 1주일에 3번 전재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