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백진협' [미의회 방영본] 대한민국 부정선거의 검은 그림자(한글버전) 방송 캡처

부정선거 시나리오와 증거유튜브 ‘백진협’ 방송은 1일 ‘대한민국 부정선거의 검은 그림자’(‘까뿌까’ 인용)를 통해 더불어민주당의 선거 조작 의혹을 제기했다.

민주당이 선거를 기획하고 선관위 서버의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로 투표수를 조작한다고 주장했다.

전자개표기를 통한 투표수 조작, 가짜 투표지 삽입, 투표함 바꿔치기가 주요 수법으로 지목됐다.

이날 방송은 “재검표를 신청하면 대법원이 이를 무력화해 범죄를 덮는다”며 디지털 포렌식 수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유튜브 '백진협' [미의회 방영본] 대한민국 부정선거의 검은 그림자(한글버전) 방송 캡처


◆ 2020년 4·15 총선 논란

2020년 4·15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여론조사 예측을 넘어 큰 차이로 승리했다.

이근영 전략기획위원장은 선거 다음 날 SNS에 사전 투표 보정값(163석)을 게시했으며, 이는 민주당의 실제 의석수와 정확히 일치했다.

방송은 “사전 투표율을 따로 지정하는 것은 부정선거를 위한 것”이라며 의혹이 제기됐다.

개표 참관인들은 “국민의힘이 당일 투표에서 앞섰으나 사전 투표함 개봉 후 결과가 뒤집혔다”고 증언했다.

유튜브 '백진협' [미의회 방영본] 대한민국 부정선거의 검은 그림자(한글버전) 방송 캡처


◆ 2024년 총선과 사전 투표율

2024년 4월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사전 투표율 목표 31.3%를 설정, 실제 결과와 정확히 일치했다.

당시 동아일보는 민주당이 총투표율 71.3%, 사전 투표율 31.3%를 목표로 했다고 보도했다. 허나 방송은 “정당이 투표율을 소수점까지 예측하는 것은 이례적”이라며 조작 의심이 커졌다.

선관위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사전 투표수를 부풀리고, 이를 전국 지역구에 배분했다고 지적됐다.

유튜브 '백진협' [미의회 방영본] 대한민국 부정선거의 검은 그림자(한글버전) 방송 캡처


◆ 2025년 대선과 김문수 패배

2025년 대선에서 김문수 후보는 당일 투표에서 다수 지역에서 우세했으나, 사전 투표 결과로 이재명 후보에게 역전당했다.

허병기 인하대 명예교수는 “사전 투표 결과는 수학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동전 253개를 던져 모두 앞면이 나올 확률과 같다”고 밝혔다.

그는 “100% 부정선거”라고 단언하며,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투표 그래프가 데칼코마니 형태로 10% 간격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유튜브 '백진협' [미의회 방영본] 대한민국 부정선거의 검은 그림자(한글버전) 방송 캡처


◆ 2020년 미국 대선과의 유사성부정

선거 의혹은 2020년 미국 대선과 비교됐다.

트럼프는 경합주에서 우세했으나, 우편 투표함 개봉 후 바이든에게 몰표가 나며 역전당했다.

한국에서도 일부 지역구 투표율이 100%를 초과했으며, 2025년 대선 사전 투표율이 3년 전과 동일하다는 점이 조작 의혹을 키웠다.

방송은 “동일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사용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됐다.

유튜브 '백진협' [미의회 방영본] 대한민국 부정선거의 검은 그림자(한글버전) 방송 캡처


◆ 투표지 조작과 선관위 해명

전자개표기 스캔 과정에서 민주당 후보에게 고정된 투표지가 연속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미국 대선의 ‘바이든 스파이크’와 유사하다고 지적됐다.

개표소에서 ‘자석 투표지’와 빳빳한 투표지가 발견됐으나, 선관위는 “정전기”와 “특수용지”로 해명했다.

방송은 “투표소에서 수많은 손을 거친 투표지가 빳빳할 수 없다”며 해명의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비판했다.

선관위가 CCTV를 가리도록 지시해 중복·대리 투표 적발이 불가능하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유튜브 '백진협' [미의회 방영본] 대한민국 부정선거의 검은 그림자(한글버전) 방송 캡처


◆ 중국 연관성과 선관위 데이터

2019년 민주연구원 양정철 원장은 중국 공산당 당교 및 텐센트와 협약을 맺었다.

선관위 2020년 선거 데이터에서 중국 공산당 구호 ‘팔로우 더 파티(follow the party)’ 문자열이 아스키코드로 숨겨져 있었다고 밝혔다.

QR코드를 통해 투표자 정보를 식별, 비밀투표 원칙을 위반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선관위가 여론조사 업체에 정보를 제공해 여론을 조작했다는 의심도 나왔다.


◆ 대법원과 법치주의 논란

재검표에서 부정선거 증거가 드러났음에도 대법원은 소송을 기각했다.

방송은 “부패한 법관들이 법치주의를 파괴했다”며 대법원의 역할이 비판받았다.

부정선거는 “북한과 중국의 영향 아래 좌파 세력의 반역”으로 규정되며, A-WEB이 글로벌 부정선거를 조직화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한국은 미국 의회에 민주주의 회복 지원을 요청했다.

(제공=유튜브 '백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