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부산항 신선대부두.사진=연합뉴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KOTRA)가 3일 발표한 설문 결과, 미국의 15% 상호관세 부과 예고 속에서도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이 수출 확대를 위해 미국 시장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는 지난달 8일부터 16일까지 수출 중소·중견기업 313곳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응답 기업의 99%가 신규 시장 진출로 수출 확대를 고려한다고 답했으며, 진출 우선순위 국가로 미국(26.8%), 유럽(17.9%), 일본(11.2%), 동남아(10.9%) 순을 꼽았다.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전 진행된 설문에서 기업들은 미국발 관세장벽과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신규 거래선 발굴(70.9%, 중복응답), 방문 상담 주선(55.3%), 바이어 방한 주선(52.7%), 해외 인증(44.1%) 등의 애로사항을 밝혔다.
필요한 서비스로는 해외 유력 바이어 발굴(78.9%), 목표시장 컨설팅(47.0%), 현지 시장조사(44.7%), 바이어 상담 주선(35.8%) 순으로 답했다.
하반기 수출 전망은 긍정적이었다.
응답 기업의 74.4%가 수출이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확대될 것이라고 답했으며, 매우 확대(5.4%), 다소 확대(31.3%), 유사(37.7%)로 나타났다.
반면, 수출 둔화(25.6%)를 예상한 기업도 있었다.
상반기 수출 실적 달성률은 62.3%로, 산업재(65.7%), 소비재(59.8%),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디지털 서비스(41.4%) 순으로 높았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은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하반기 시장동향 및 통상정보 제공, 목표시장 진출전략 컨설팅, 대체 시장 발굴 상담, 연말 성과결산 상담회를 통해 기업 지원을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