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왼쪽)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오는 25일(현지시간) 첫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 전문가들 사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방위비 문제 등에서 사실과 다른 수치를 언급하거나 예측 불가능한 발언을 하더라도 이재명 대통령이 즉각적인 대응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미국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KEI)의 스콧 스나이더 소장은 지난 21일 이 연구소가 주최한 세미나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 중 언론 앞에서 '잘못된 방위비 수치'를 반복하여 거론할 경우, 즉석에서 대응하기보다는 회담 이후 양측 관계자들이 정정하도록 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조언했다.

스나이더 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2만8천500명 수준인 주한미군 규모를 4만 명으로 언급하는 등 종종 사실과 다른 수치를 제시한 바 있음을 상기시키며, 트럼프 대통령이 잘못된 발언을 하더라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정정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의 과거 사례를 들며, "중요한 것은 단지 그 순간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가 아니라, 다음 만남에서 어떻게 대응하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스나이더 소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경우 통역을 거쳐 대화해야 하는 상황이 즉각 대응에는 단점이지만, 오히려 차분한 대응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는 장점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케이이아이(KEI)의 에리우스 데어 커뮤니케이션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이나 북한 문제와 관련하여 기존 양국의 합의와 상충하거나 돌발적인 발언을 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1기 집권 시절이던 2017년 6월 문재인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 직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관련 트윗을 올렸던 사례를 언급하며, "오는 25일 정상회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하든, 예상하지 못한 일이 벌어질 것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미경제연구소 세미나
한미경제연구소(KEI)가 지난 21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왼쪽부터 에리우스 데어 KEI 커뮤니케이션부장, 스콧 스나이더 소장, 엘렌 김 학술부장, 톰 라마지 경제정책 분석가.사진=연합뉴스


케이이아이(KEI) 엘렌 김 학술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이 언급한 것을 실제로 추진하려는 경향이 있다며, 그가 방위비 지출이나 분담금 문제를 거듭 언급해온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이슈를 이번 정상회담의 핵심 성과로 삼으려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 학술부장은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중국 문제에 관해 질의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며,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미 정상회담의 또 다른 의제로 거론되는 '동맹 현대화' 논의와 관련해서는, 아직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국방 전략이 발표되지 않았으므로, 구체적인 내용보다는 '강화된 동맹을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다'와 같은 "공동 비전 성명 형태로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데어 부장은 전략적 유연성이 협상 과정에서 논의되는 요소이며, 방위비 문제 등과의 조합이 어떻게 될지는 아직 불확실하지만, 이는 국방부가 국방 전략을 통해 주도하는 과정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