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사진=연합뉴스


미국 백악관은 9일(현지시간) 조지아주에서 한국인 근로자들이 이민 당국에 대규모로 구금된 사태와 관련하여 외국 기업 근로자의 비자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담당 부처들이 공동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외국인 투자 유치와 자국민 일자리 보호라는 두 가지 목표 사이의 균형점을 찾으려는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조지아 현대자동차-엘지(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벌어진 이번 사태의 재발 방지 차원에서 미 행정부가 비자 관련 법규 개정 등을 추진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일요일(7일)에 전 세계의 외국 기업들과, 그들이 미국에서 하는 투자에 대해 매우 감사해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고 전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들 기업이 "고도로 숙련되고 훈련된 근로자들을 (미국으로) 함께 데려오기를 원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반도체와 같은 "매우 특수한 제품이나 조지아에서처럼 배터리 같은 것을 만들 때는 더욱 그렇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동시에 "이들 외국 기업이 미국인 근로자들을 고용하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이 외국 근로자들과 미국인 근로자들이 함께 일하며 서로 훈련하고 가르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이러한 대통령의 입장을 "매우 미묘하면서도 책임 있는 입장"이라고 설명하며, 출입국 및 이민 정책을 총괄하는 국토안보부와 외국 기업의 투자 유치를 담당하는 상무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지침에 따라 이 문제에 "함께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 투자 기업 소속 근로자들의 체류 자격 문제를 해결할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 중임을 의미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 소셜'을 통해 이번 사태에 대해 "당신들의 투자를 환영한다"며 "우리는 당신들이 훌륭한 기술적 재능을 지닌 매우 똑똑한 인재를 합법적으로 데려와 세계적 수준의 제품을 생산하길 권장한다. 그리고 우리는 당신이 그렇게 하도록 그것(인재 데려오는 일)을 신속하고, 합법적으로 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미국 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불법체류 근로자에 대한 초강경 이민정책과, '관세 전쟁'을 지렛대로 외국 기업의 미국 투자를 유도하는 전략이 이번 사태를 통해 드러낸 제도적 모순을 트럼프 대통령도 인정하고 개선 의지를 보이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