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의원석 바라보며 강하게 비판하는 송언석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 연설 도중 정부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을 강한 어조로 비판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가 1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이재명 정부의 국정 운영 100일을 '혼용무도(昏庸無道·어리석은 군주가 세상을 어지럽게 만든 시간)'로 규정하며 강력히 비판했다.
송 원내대표는 동시에 사법·방송·재정개혁 등 핵심 현안 해결을 위한 여당과의 협의 채널 가동을 제안하며 '정책 정당'으로서의 이미지 부각에 힘을 쏟았다.
이는 단순 비판을 넘어 국정 파트너로서의 대안을 제시하겠다는 단호한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여당 향해 목소리 높이는 송언석 원내대표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하며 여당 의원들을 향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이재명 정부 '혼용무도' 규정, 거대 여당 독주 맹공
송언석 원내대표는 50여분 간 진행된 연설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16차례, 더불어민주당을 12차례 언급하며 정조준했다.
그는 "역류와 퇴행의 국정 운영 100일을 목도하면서 쌓여가는 국민의 한탄과 원성을 들으면서 오만하고 위험한 정치 세력에게 국가 권력을 내준 우리 국민의힘의 과오가 더욱 한탄스럽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정치는 협치를 파괴하는 거대 여당의 폭주 속에 정치 특검을 앞세운 야당 탄압, 정치 보복만 있을 뿐"이라고 주장하며, 이재명 정부와 다수 의석의 민주당이 '일방 독주'로 국정을 끌고 있다는 점을 부각했다.
또한 "여당 대표는 걸핏하면 '해산' 운운하며 야당을 겁박하고 모독하는 반(反)지성의 언어폭력을 가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자신들의 전매특허인 '내란 정당' 프레임을 씌워 야당 파괴, 보수 궤멸의 일당 독재를 구축하려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권력은 단맛에 취하는 순간 브레이크 없는 추락이 시작된다"고 경고하며 "손에 든 망치를 내려놓으라", "양두구육(羊頭狗肉)의 국정운영을 멈추라"고 강하게 요구했다.
이에 민주당 의원들은 연설 초반부터 고성으로 반발했으나, 국민의힘 의원들은 50여 차례 박수로 화답하며 민주당의 반발에 맞섰다.
송언석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 항의하는 최민희ㆍ김현 의원
더불어민주당 최민희(앞), 김현 의원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듣다 정부와 여당 정책을 비판하는 내용을 듣고 항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정책 정당' 이미지 부각, 협치 가능성 천명
송 원내대표는 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전날 연설에서 '협치'를 단 한 차례도 언급하지 않은 것과 대비되게, 본인 연설에서는 '협치'를 3차례 언급하며 국민의힘이 협치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강조했다.
그는 "국가 성장률, 저출산·고령화, 지방 소멸, 노동시장 양극화 등 현안을 놓고 여야가 밤새 토론하고 협의하며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바로 국민이 바라는 정치 아니냐"고 되물었다.
지난 8일 이 대통령과 여야 대표 오찬 후 합의한 '여야 민생협의체'를 거론하며, "국민의힘은 협치할 준비가 되어 있고, 정책적 대안도 가지고 있다"고 압박했다.
이어 "절대 다수를 점하는 민주당은 본인들이 결정만 하고, 선택하면 못 할 게 없는데 왜 이런 국가적 난제에 대해선 힘을 쓰지 않느냐"고 지적하며, 여당의 선택을 촉구했다.
교섭단체 대표 연설 듣는 국무위원들
김민석 국무총리와 구윤철 부총리 기획재정부 장관 등 국무위원들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송언석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듣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주요 현안별 '특위 구성' 제안 및 대북 정책 제시
송 원내대표는 정책 정당으로서의 면모를 강화하기 위해 주요 현안별 특위 구성을 제안했다.
'검찰 해체 4법'에 대해서는 국회 사법개혁특위 구성을 제안했으며, 방송 3법은 원점 재논의를 위해 여야 공영방송 법제화 특위를 만들자고 촉구했다.
또한 정부 재정사업의 예산 소요를 원점에서 재평가하는 '제로베이스 예산 제도' 도입과 이를 위한 국회 여야정 재정개혁 특위 구성도 요구했다.
대북 정책으로는 한미 연합 훈련 강화와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을 제안하며 실질적인 대북 억지력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한미정상회담 후속 협상에서도 국익 차원에서 협조를 아끼지 않겠다고 밝혀, 안보와 외교 분야에서의 견고한 원칙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