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10월25일 토요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추야월색(秋夜月色, 편집자 해석: 가을 밤의 달빛))
사람에게 괴로운 것은 세상일이라, 고금(편집자 해석: 옛날과 지금)에 국태민안(國泰民安, 편집자 해석: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 할 때라도 세상사를 생각하면 인생이 무단히 늙는다 하나니, 하물며 이때 이 형편에 앉아 국사(편집자 해석: 나라의 일)와 민정(편집자 해석: 백성의 사정이나 감정, 민심)을 낱낱이 생각하자면 울어도 시원치 않고, 말해도 쓸데없이 더욱 다만 마치고 병만 될지라(편집자 해석: 병만 생길 뿐이다). 여러 날 시폐(時弊, 편집자 해석: 시대의 폐단)를 대강 말하기에 생각도 괴로웠거니와, 듣기에도 생신(生新, 편집자 해석: 새롭고 신선함)할 구석(편집자 해석: 부분, 측면)이 없을지라.

잠시 정지하고 강산풍월(편집자 해석: 강과 산, 바람과 달)을 의론하여 적울(積鬱, 편집자 해석: 쌓인 우울함)한 회포를 소창(消暢, 편집자 해석: 풀어 없애고 시원하게 함)하는 것이 또한 한 가지 쾌활한 흉금(편집자 해석: 가슴속 깊은 생각이나 감정)이 되겠도다. 본 기자는 본래 서책에 반이나 미친 자라. 내외국 문자의 고금 사적을 전후에 벌려놓고 그 중에서 주야 스스로 분주히 지내므로, 문밖에 있는 물색과는 상관이 별로 없는 고로, 세월 가는 줄을 자연 모르고 지내는데, 간밤에는 홀로 상을 의지하여 등을 도두고 책을 대하여 각국의 유람한 사적을 구경하며 홀로 탄식도 하며, 홀로 흠선(欽羨, 편집자 해석: 감탄하고 부러워함)도 하다가, 홀연히 창밖에 찬바람이 움직이며 기러기 소리가 서리를 부르짖는지라.

책을 놓고 허희(歔欷, 편집자 해석: 흐느끼며 우는 소리) 장탄하여 왈(曰): 세월이 덧없도다. 지루한 여름이 우연히 다 진(盡, 편집자 해석: 다하다, 끝나다)하고, 벌써 삼추가 장차 며칠이 못남아 북풍이 겨울을 재촉하니, 무정한 광음(光陰, 편집자 해석: 시간, 세월, 문자 그대로는 '별과 그늘'이지만, 시간의 흐름을 뜻하는 고전적 표현)은 물 흐르듯이 나거늘, 무단한 인생은 공연히 심려만 허비하며, 명절(名節, 편집자 해석: 이름난 명절, 특별한 절기) 가신(嘉辰, 편집자 해석: 아름다운 때, 좋은 시절)에 강산 풍경을 구경치 못하고, 주야골몰(편집자 해석: 밤낮으로 몰두함, 밤낮없이 세상일에 매달려 있다는 의미) 분요히 신산한(편집자 해석: 고달프고 괴로운) 세상일에 달 가고 해가 가니 어찌 괴로운 인생이 아니리요.

언파(言罷, 편집자 해석: 누군가의 말이 끝났다는 뜻)에, 인하여 서안(書案, 편집자 해석: 글을 쓰거나 책을 읽는 데 사용하는 책상)을 밀치고 창을 열치니 만정(滿庭, 편집자 해석: 정원이나 마당 전체에 가득 찼다는 뜻) 월색(편집자 해석: 달빛)이 백주같이 밝은지라. 몸을 일으켜 뜰에 내려 배회(徘徊. 편집자 해석: 이리저리 거닐며 돌아다님) 방황하노라니, 사면에 인적은 고요한데 나뭇잎에 우는 바람 두어 집 다듬이 소리를 은은히 전하며, 만리장천(萬里長天, 편집자 해석: 끝없이 펼쳐진 하늘)에 구름은 한 점도 없고 달빛이 낮같아서, 소슬한 기운이 사람의 옷깃을 침노하는데, 남산 북악은 은은히 푸른빛이 반공(半空, 편집자 해석: 하늘의 중간 높이)에 솟아 유형무적(有形無籍, 편집자 해석: 형체는 있으나 자취는 없음)하게 보이는지라. 이때 경개가 참 장부(편집자 해석: 대장부)에 흉금(편집자 해석: 가슴속 깊은 생각이나 감정)을 쾌락하게 하는도다.

세상을 널리 생각하면, 산천이 천엽(千葉, 편집자 해석: 천 개의 잎, 산천이 겹겹이 펼쳐진 모습) 속같이 된지라. 저 산너머 산이 얼마요, 저 물 건너 물이 몇 겹이라. 이 산과 이 물 사이에 묻혀 있어 평생을 거쳐 출입하는 것이 뜰 가운데 개미와 같아서, 그 뜰 밖과 담 넘어, 또 그 뜰과 마당 같은 천지가 얼마인지 모르고, 다만 그 일신 부쳐 있는 데만 넓은 세계라 하나니, 이 중에 초로백년(初老百年, 편집자 해석: 초로는 풀잎 위의 이슬처럼 덧없는 것, 백년은 인간의 수명을 상징이다 합쳐서 '덧없는 백년 인생')에 꿈결 같은 세월을 부귀공명(편집자 해석: 부유함과 높은 지위, 명예)에 극(極, 편집자 해석: 극에 달하다, 최고에 이르다)하다 하나 불과 하루살이 일생이라.

이 일생을 위하여 혹 살인탈재(殺人奪財, 편집자 해석: 사람을 죽이고 재물을 빼앗음)도 하며, 불의행사(不義行事, 편집자 해석: 정의롭지 못한 일을 행함)도 하며, 혹 나라를 팔고 세상을 속이다가 필경은 당대에 화를 면치 못하거니와, 한 몸과 집안이 패망함을 당하며, 요행이 벌을 면할지라도 장래 지하에 그 벌이 없지 않을 터이니, 사람의 어리석음이 어찌 미물(편집자 해석: 아주 하찮은 생물)보다 낫다 하리요.

마땅히 마음을 고쳐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몸을 대신하여 사람을 사랑하여 일평생에 어질고 착한 일에 목숨을 맞출진대, 이 세상에서도 지극한 낙이 부귀공명보다 나을 것이오, 이후 영원한 복이 길이 한없을지니 어찌 즐겁지 않으리오. 무궁한(편집자 해석: 끝이 없음) 회포(편집자 해석: 마음속에 품은 생각이나 감정)에 대강(편집자 해석: 큰 줄거리)을 기록하여 세상에 인애(편집자 해석: 어질고 사랑함)한 동포들을 권하노라.

(다음 호는 10월2일 제245호)

※ 편집자 주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