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추석 선물 공개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후 첫 명절을 맞이해 산업재해 피해 유족을 비롯한 사회 각계각층에 추석 선물을 전달한다고 지난 23일 대통령실이 밝혔다. 선물 제공 대상에는 각계 주요 인사는 물론 호국영웅과 재난·재해 피해 유족, 사회적 배려 계층 등이 포함됐다.사진=연합뉴스
대통령실이 각계에 보낸 명절 선물이 온라인 중고 거래 플랫폼에 잇따라 등장하면서 선물 본래의 취지와 진정성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고물가 상황 속 실속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반영되었다는 시각도 있으나, 국민의 세금으로 마련된 선물이 무분별하게 거래되는 현상에 대해 선물의 의미가 퇴색한다는 비판이 확산되고 있다.
28일 본지가 확인한 유튜브 채널 '꽉TV'가 '벌써 당근에 중고로 나온 대통령 추석 선물, 얼마일까…'라는 제목의 쇼츠 영상을 공개하며, 대통령실 명절 선물이 온라인 중고 거래 플랫폼에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영상에 따르면 대통령실 문양이 새겨진 포장 박스와 함께 지역 특산물 등으로 구성된 명절 선물이 수만 원대에 거래되는 모습이 포착되었으며, 일부 판매 게시물에는 "명절 선물인데 저에게 필요 없어 당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대통령 명절 선물은 국가 주요 인사를 비롯해 사회 소외계층, 국가 유공자 등 다양한 계층에 전달되며, 국가와 국민을 위한 봉사에 대한 감사와 존경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선물이 우리 국민의 세금으로 마련되는 만큼, 그 안에 담긴 국정 철학과 의미를 존중하고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나, 이러한 중고 거래는 선물의 본래 목적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를 개인의 재산 처분 자유를 넘어, '국민의 선물'이 갖는 상징적 가치까지 훼손하는 행위라는 비판도 나온다.
일부에서는 대통령실 명절 선물이 지나치게 값비싼 지역 특산물로 구성되거나, 받는 이의 선호도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품목 선정으로 인해 원치 않는 이들이 중고 거래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필요 없는 물건'으로 전락하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선물의 구성과 선정 과정에서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선물을 받은 개인이 이를 처분하는 것은 자유지만, '국민의 선물'이라는 상징성을 고려할 때 중고 거래로 이어지는 현상은 국민들에게 불필요한 논란과 함께 국고 낭비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시각이 제기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통령실이 명절 선물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고, 품격과 국민 정서에 부합하는 선물 문화 정착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제공=유튜브 꽉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