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합동감식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위해 소방,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사진=연합뉴스


정부 전산망 마비를 초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경찰 수사가 본격화됐다.

대전경찰청은 28일 국정자원에서 소방당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합동 감식에 나서는 등 화재 원인 파악에 집중하고 있다.

대전경찰청은 김용일 형사과장(총경)을 팀장으로 하는 20명 규모의 전담수사팀을 꾸렸으며, 불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을 중점적으로 살피고 있다.

강재석 과학수사계장은 전날 현장 감식 과정에서 확보한 증거물을 감정 의뢰했으며, 28일에는 광범위한 합동 감식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전산실에서 반출해 수조에 담가둔 배터리들은 2~3일간 안정화 작업을 거쳐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감식 의뢰될 예정이다.

전담수사팀은 불이 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원인과 배터리 관리상 문제, 안전조치 미비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국정자원 화재로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가 소화수조에 담겨 있다.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사진=연합뉴스


현재 행정안전부와 국정자원 측은 작업자 13명이 5층 전산실에 있던 UPS용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는 작업 중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 1개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경위를 설명하고 있다.

화재 원인과 관련해서는 배터리 노후화 가능성과 함께 이전 작업 중 실수가 있었던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화재 원인이 된 UPS용 배터리는 2014년 8월 납품되어 10년 권장 사용 기간을 약 1년 넘긴 상태였다.

불에 탄 배터리 살피는 국과수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가 소화수조에 담긴 배터리를 살피고 있다.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에 대해 행안부는 "배터리 관리업체로부터 정기점검을 받았으며, 해당 점검에서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반면, 업계 일각에서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선을 빼는 작업을 하다가 전기 단락(쇼트)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주장하고 있다.

다만 국정자원 측은 전날 현장 브리핑에서 "전원을 끊고 40분 뒤에 불꽃이 튀었다"고 밝히며 작업 실수가 아님을 시사했다.

경찰 관계자는 정부 서비스 복구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정밀감식 등을 통해 정확한 사고 경위와 화재 원인을 밝히겠다고 전했다.

추가 감식은 내일 오전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