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취약계층 어르신 3만5천명에 추석 특식 제공.사진=서울시/연합뉴스

서울시는 6일 추석을 맞아 저소득 어르신 3만5천여명에게 특식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대상은 저소득 어르신 급식지원 3만3천여명과 4월 시작된 서울밥상 지원 1천700여명이다.

메뉴는 소고기토란탕, 가자미 미역국, 소불고기, 송편, 약과 등으로, 소화와 저작이 쉬운 음식으로 구성했다.

저소득 어르신 급식지원은 만 60세 이상 저소득층에게 경로식당에서 주 6회 무료급식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거동 불편 어르신에게는 주 7회 도시락, 조리 가능한 어르신에게는 주 2회 밑반찬을 배달한다.

서울밥상은 민간조리업체와 계약해 무료급식을 받지 못하는 저소득 어르신에게 주 5회 도시락(7식)과 주 2회 밑반찬(2식)을 지원한다.

시는 추석 연휴 동안 독거 어르신, 노숙인, 쪽방주민, 장애인 등 취약계층 돌봄을 강화한다.

2일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 4만명에 대한 1차 안부 확인을 완료했으며, 10일 전화나 방문으로 2차 확인을 진행한다.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돌봄서비스가 설치된 1만3천명은 응급상황 모니터링을 받는다.

노숙인시설 32곳은 5일부터 8일까지 1일 2식에서 3식으로 식사를 늘렸다.

사회적 고립 위험 7만5천 가구는 우리동네돌봄단이 연휴 중 두 차례 안부를 확인하며, 고위험군은 집중 관리한다.

스마트안부확인서비스 2만8천 가구는 위험신호를 상시 모니터링해 응급상황에 대응한다.

복지관은 특식 나눔, 송편 빚기, 민속놀이 행사를 진행하며, 장애인 돌봄 공백 방지를 위해 활동지원급여를 기존 12시간에서 36시간으로 확대했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취약계층이 식사와 안부 확인으로 외로움을 달래고 안전하게 연휴를 보내도록 꼼꼼히 챙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