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사진=연합뉴스


질병관리청은 2025∼2026절기 코로나19 예방접종사업 개시를 앞두고 백신 530만 회분 조달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8월 5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LP.8.1 균주 백신 530만 회분을 도입할 예정이나, 새로운 백신 도입 과정에서 투명한 안전성 정보 공개를 통한 국민적 신뢰 확보가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번에 계약한 백신은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와 미국·유럽 보건당국이 활용을 권고한 LP.8.1 균주 백신이다.

화이자에서 328만 회분, 모더나에서 202만 회분을 도입하며, 총 530만 회분(약 2천500억 원)이 전량 국비로 조달된다.

정부는 지금까지 각 제약사와의 선구매를 통해 코로나19 백신을 도입했으나, 올해부터는 기존 국가예방접종사업 체계와 동일하게 지방자치단체 보조사업으로 변경하여 정부 조달구매 방식으로 계약했다.

이에 따라 백신 보관과 유통 역시 정부 위탁업체가 아닌 조달계약업체가 담당하게 된다.

질병관리청은 백신 폐기 최소화를 위해 사업 기간 중 유효기간이 도래하는 백신은 교환을 통해 접종 기간 중 계속 활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사업 종료 후 남은 백신은 계약 물량의 5퍼센트(%) 범위 내에서 반품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올해부터 코로나19 백신 계약 방식과 유통 등에 많은 변화가 있는 만큼 백신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며 "백신의 안전한 보관과 유통을 위해 현장 점검도 더욱 꼼꼼히 하겠다"고 밝혔다.

2025∼2026절기 코로나19 예방접종은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10월 중 개시되며, 자세한 일정 등은 추후 확정될 예정이다.

"백진협 로트번호별 이상반응 공개하라".사진=백신 진실규명 유족 협의회(백진협) 제공


◆ 백신 안전성·투명성 확보, 신뢰 회복의 핵심 과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백신이 빠르게 개발되고 도입되면서 백신 안전성 및 효과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관심은 끊이지 않았다.

특히 아동·청소년 백신 접종과 관련해서는 부모들이 새로운 백신에 대한 장기 데이터 부족과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선택의 폭을 넓힐 것을 요구하는 등 윤리적 쟁점이 부각되기도 했다.

이처럼 백신 접종 정책이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만큼,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백신 역시 충분한 임상 데이터와 안전성 검증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국민의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과거 백신 정책에 대한 부정적 시각과 부작용 피해자들의 권리 회복 운동이 활발했던 점을 감안할 때, 정부는 새로운 백신 도입 및 접종 과정에서 더욱 신중하고 투명한 접근을 통해 사회적 불확실성을 해소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