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에 창간했다. 인터넷 뉴스 창간 전에 시스템 작업을 완료하고, 비봉출판사에서 출간한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3권 중 제1권을 지난해 9월 20일부터 올해 9월 19일까지 당시 보도 날짜를 따라 그대로 전재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약 125년 전의 시대상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독자들은 매일 혹은 며칠에 한 번씩 연재된 논설문집을 보면서 1권을 읽었다. 이제 창간 1주년을 맞아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에는 서재필이 조직한 학생청년회 ‘협성회’ 토론회를 이끈 이승만이 ‘협성회보’ 제작 편집을 맡았던 신문에서 수록한 것과 23세의 이승만이 '매일신문’을 창간 후 수록한 것 그리고 한성 감옥 복역 중(1899년~1904년)에 비밀리 집필하여 감옥 밖으로 보내 제국신문에 게재했던 수백 편의 논설 중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는 공화국이다. 공화국으로서 건국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은 현재의 시대 사람들에게는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잘못된 인식과 나쁜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하지만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 당시 대통령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미 그는 유일 후보로 최소 득표수를 너끈히 넘긴 당선자였다.

예나 지금이나 아랫사람 관리를 잘못하면 윗사람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지만, 이 나라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에게는 그 잣대가 너무도 가혹해 그의 훌륭한 업적은 논하는 것조차도 불편하게 되었다.

그러나, 만고의 진리 중 진실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론계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절대 변하지 않은 진실과 바로 잡아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서 다음의 내용은 제일 우선시 되어야 만이 이 땅에 살아 숨 쉬고 있는 모든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98년 4월 9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지인 '매일신문’이 창간한 날이다. 이 신문을 창간한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다. 그는 무지한 국민을 하루빨리 계몽해서 '똑똑한 국민’으로 만들고 싶어서 신문을 창간한 것이다.

하지만,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1896년 4월 7일 창간해서 오늘날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서재필의 피는 한국인지 모르지만, 그는 미국인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전시된 서재필에 관한 내용을 보면, 그는 이 땅에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당시 그는 철저히 미국인이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된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을 바꿔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인 '이승만’이 최초로 신문을 만들었다. 훗날 그는 대한민국의 건국 대통령이기도 했다.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인 만든 신문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로 정하자는 주장을 제기한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새롭게 평가하고, 그의 업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2월20일 제국신문 제5권 제35호에 실린 논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본사 사적 연속)

이때에 삼백 원 자본도 당초에 석 달 예비가 못되고, 겸하여 백성을 권하여 정부에서 이런 사업은 찬조하지 아니하므로 사기도 일변 위험함을 무릅쓰고 하는 일이라, 두루 보아야 성취될 기망(企望)은 만무하고 다만 남의 시비만 자취함이라, 부모처자며 사랑하는 내외국 친구들이 어찌 관여치 않으리오. 백 가지로 권하며 말리되 듣지 아니하고, 다만 충분(忠奮)한 마음으로 우리 힘을 다하여 기운이 진하고 재력이 마르기까지까지 이르러, 다만 한두 사람의 이목이라도 열어 주는 것이 우리의 직분이라 하고 주야로 애를 쓰며, 조석(朝夕) 먹을 겨를이 없어 간간이 굶어 가며 여일히 발간하자, 충애(忠愛)하는 동포가 날로 늘어 신문 보는 자 수삭 동안에 수천 명이 되는지라.

이 흥왕하는 기상을 보고 사중(社中)에 여러 의론이 생겨 불합한 뜻이 나자 필경 신문사 사원들이 각립(各立)이 되는지라. 매일신문이 부득이 남의 손에 들어가니, 이는 그때에 다 공포한 바라. 자세히 말할 것 없거니와, 대저 학문 없는 사람들을 많이 합하여 회사를 조직하고 사업을 경영함은 낭패되는 법이라.

이때에 어떤 유지한 친구가 재정을 내어 활판을 영히 사고 그 집과 그 기재와 총무원과 협의하여 새로 신문을 창설하니, 이름이 제국신문이라. 본 신문이 이때부터 설립되어 날마다 발간하자 불구에 매일신문은 아주 없어지고 제국신문이 날로 성취되어 원근에 퍼지니 적이 성양(成樣)이 되는지라. 이 어찌 당초에 기약한 바리오. 신문 사랑하는 여러 동포들이 힘써 전파하며 사보아 때로 연보(捐補)한 힘이거니와 대개 옳고 공평 정대한 목적으로 힘을 다하여 쉬지 않고 도모하면 재정과 보호가 다 그 중에서 생기나니, 당초에 될 수 없다고 생각도 아니 하는 것은 사업을 못할 사람인 줄 가히 알겠도다.

이후로 황성신문(皇城新聞)이 설립되어 국한문으로 섞어내자 지금은 확실히 기초가 잡히는 모양이니, 다행한 일이라. 황성 사원들의 주야 애쓰고 일하는 것을 치사하노라.

그 후로 위름(危懍)한 광경을 당한 것이 대강 여좌(如左)하니, 첫째 덕국인이 금광 달라는 사건에 외부대신 유기환 씨가 누차 근지(謹持)하다가 덕국 영사 크린에게 무리한 욕을 보니, 전국 인민이 모두 울불(鬱怫)하나 드러내어 말하는 자 없는지라. 본사에서 그 무리함을 시비하고 세상에 성명하였더니, 크린이 본사와 시비를 차리려 하는지라. 본사에서 여럿이 변론하자 필경 자기의 이굴(理屈)함을 알고 자퇴하였으나, 정부 관원을 대하여 누차 설분(雪憤)함을 청하였고, 둘째는 전 법부 고문관 구례가 정부와 약조가 있다 하고, 상해에서 고용병 삼십 명을 청하여 올 때에, 일이 비밀하여 세상에서 아는 자 없는지라. 수십일 전기(前期)하여 본사에서 탐보하여 반론하였더니, 그 모친이 발명하여 당초에 그런 일이 없노라고 하고, 각 신문에서도 다 믿지 않고 반론이 무수한지라. 구례가 오면 장차 재판을 청한다 하더니, 급기 삼십 명이 들어오는 날은 세상에서 본 신문을 더욱 취신(取信)하였고, 아(俄) 법(法) 량 공사가 포경 기지 달라는 사건에 본사에서 통상 약장을 들어 시비하였더니, 양 공사가 외부로 누차 조회하고 본 신문 사원을 징벌(懲罰)하여 달라 하는지라. 그때 외부대신 조병직 씨가 본사 사원을 청한지라. 사원이 가서 충분 혈기로 일장 격절한 말로 일장을 설명한 후에 즉시 그 사연을 들어 본 신문에 기재하여 그 공평치 않음을 논란하였더니, 또한 그 의론이 얼마 정지되었는지라.

그 외에 여러 가지 정치상 시비에 큰 관계되는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닌데, 당시 권력을 비교하면 다 소양지판(宵壤之判)이라. 각국 공령사가 아니면 용사(用捨)하는 큰 권력 있는 자들이오, 본사는 불과 한두 선비의 붓끝가 혀끝뿐이라. 그때에 우리나라 관인들이 하나도 보호하여 옳은 공론을 세울 생각은 조금도 없고 도리어 밉게 여기는 자 무수하니, 무엇을 믿고 능히 세계상 권리를 다투느뇨. 다만 흉중에 한조각 혈성(血誠)뿐이라.

나라의 권리와 명예를 들어내자면 백만 명 양병하는 데 있지 않고, 다만 그 백성이 자기 목숨과 몸으로서 국기를 보호하여야 남이 감히 경멸히 여기지 못하며, 국가에 신민이 되었다가 이런 때를 당하여 충의를 가지고 목숨을 버리는 것이 구구이 욕을 참고 살기를 도모하는 이보다 몇 백 배 영광인 줄을 깊이 알아, 경위와 공법을 어기는 자는 흔천동지(掀天動地: 큰 소리로 천지를 뒤흔듦)하는 권세를 가졌더라도 능히 앞에 용납지 못하겠기로, 깊이 맹세한 마음이 굳건하여 감히 빼앗을 자없는 연고라. 아무리 어려운 형편을 당하여도 이 마음만 확실하면 두려울 것도 없고 못될 일이 없는지라. 남아의 한 가지 작정한 일이로다. 내일 논설을 보시오.

(다음 호는 12월 22일 제5권 제36호)

<편집자 주>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는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의 편집자다. 1970년에 서울상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80년에 비봉출판사를 설립했다. 그는 1994년에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를 역임했고, 1966년에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기봉 대표의 열정적인 협조 덕분에 독자들은 당시 시대상과 함께 젊은 이승만의 사고와 사상을 엿볼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큰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연재 중에 어떤 독자는 "이렇게 훌륭한 글들이 우리가 배운 교과서에 단 한 점도 실리지 않았다는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고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다"라고 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이 대한민국 교과서에 실리는 그날을 기다리며,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이번 연재는 지난 1권처럼 당시 보도된 날짜가 아닌 월, 수, 금요일 순으로 하여 1주일에 3번 전재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