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에 창간했다. 인터넷 뉴스 창간 전에 시스템 작업을 완료하고, 비봉출판사에서 출간한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3권 중 제1권을 지난해 9월 20일부터 올해 9월 19일까지 당시 보도 날짜를 따라 그대로 전재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약 125년 전의 시대상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독자들은 매일 혹은 며칠에 한 번씩 연재된 논설문집을 보면서 1권을 읽었다. 이제 창간 1주년을 맞아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에는 서재필이 조직한 학생청년회 ‘협성회’ 토론회를 이끈 이승만이 ‘협성회보’ 제작 편집을 맡았던 신문에서 수록한 것과 23세의 이승만이 '매일신문’을 창간 후 수록한 것 그리고 한성 감옥 복역 중(1899년~1904년)에 비밀리 집필하여 감옥 밖으로 보내 제국신문에 게재했던 수백 편의 논설 중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는 공화국이다. 공화국으로서 건국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은 현재의 시대 사람들에게는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잘못된 인식과 나쁜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하지만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 당시 대통령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미 그는 유일 후보로 최소 득표수를 너끈히 넘긴 당선자였다.

예나 지금이나 아랫사람 관리를 잘못하면 윗사람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지만, 이 나라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에게는 그 잣대가 너무도 가혹해 그의 훌륭한 업적은 논하는 것조차도 불편하게 되었다.

그러나, 만고의 진리 중 진실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론계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절대 변하지 않은 진실과 바로 잡아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서 다음의 내용은 제일 우선시 되어야 만이 이 땅에 살아 숨 쉬고 있는 모든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98년 4월 9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지인 '매일신문’이 창간한 날이다. 이 신문을 창간한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다. 그는 무지한 국민을 하루빨리 계몽해서 '똑똑한 국민’으로 만들고 싶어서 신문을 창간한 것이다.

하지만,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1896년 4월 7일 창간해서 오늘날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서재필의 피는 한국인지 모르지만, 그는 미국인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전시된 서재필에 관한 내용을 보면, 그는 이 땅에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당시 그는 철저히 미국인이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된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을 바꿔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인 '이승만’이 최초로 신문을 만들었다. 훗날 그는 대한민국의 건국 대통령이기도 했다.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인 만든 신문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로 정하자는 주장을 제기한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새롭게 평가하고, 그의 업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4월18일 제국신문 제5권 제83호에 실린 논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인구의 성쇠)

세계 인구를 통합하면 십육억만 명이라. 그 중 관계있는 몇 나라 인구를 대강 상고하건데, 청국에 사억만 명이니 세상에 제일 많다 하던 나라이요. 인도국이 삼억만 명이니 영국에 다 속한 노예라. 지금은 영국 인구로 통합하여 본방과 각 속지 인구를 함께 치므로 사억만에 이른지라 청국과 비등하게 되었으며, 미국이 칠천만 명이고, 아라사가 일억 삼천만 명이고, 일본이 사천여만 명이라. 대한에 이천만 명이라 함은 실로 빙거 없이 가량 치고 하는 말이나, 외국 신문에 보면 혹은 일천이삼백만 이상으로 일천칠팔백만 명까지 이르도록 한정이 없이 혹은 이렇다 하며 혹은 저렇다 하며 질정(質定)이 없으니, 이만한 수치(羞恥)가 또한 없는지라.

내 나라 인구가 얼마인지 모르니 남이 무엇이라 지목하리오. 어서 깨어서들 인구도 자세히 조사하며 토지를 측량하여야 하려니와, 설령 이천만 명이라 할지라도 청국에 비하면 이십분의 일이오, 일본에 비하면 절반이오, 미국에 비하면 거의 사분의 일이라. 실로 적어서 각국과 비교치 못하리라 할 것이다.

그러나 나라의 강약은 백성 다소에 있지 않고, 다만 국민의 마음이 발달하고 아니 하기에 있나니, 청국으로만 보아도 십분의 일 되는 일본에 패한 바 되며, 인도국은 팔분지일 되는 영국에 속하여 삼억만 명이 노예 노릇을 하나니, 우리 이천만 명이 원기만 발달하여 사람마다 속에 충분(忠奮)한 마음이 들어 몸이 죽어도 나라를 보호할 생각만 있으면, 오늘날 사천만 명 가진 일본이 네 갑절 되는 아라사와 비등하려 함을 부러워할 것이 없을지라. 사람마다 속에 충분한 마음을 한 가지씩 얻어 넣도록 힘써야 할 것이니, 이는 새 학문과 내외 사정을 아는 데서 생김이라. 국민의 장진(長進)을 바라는 사람들은 널리 권면할지어다.

매 일백년을 한 세기라 하나니, 한 세기 동안에 어느 나라든지 매 백 명이 평균적으로 갑절씩 는다 하나니, 작년이 일천구백일 년인즉 십구 세기가 마치고 이십 세기가 새로 시작되는 해라. 이럼으로 작년이 각국에서는 범백(凡百) 사업의 흥하고 쇠한 것을 조사하여 지나간 세기 동안에 어찌된 것을 비교하며, 오는 세기 동안에 어떻게 진보될 것을 권장하는 고로, 각색 일에 비교하여 공포한 것이 심히 많은지라. 우리는 지난 백 년 동안을 두고 비교할진데 또한 가관(可觀)할 곳이 없지 않도다.

대개 나라의 흥쇠(興衰)를 보려면, 인구의 늘고 아니 느는 것과 재물이 흥성하고 아니함을 보아 비교하나니, 영국의 흥왕함을 볼진대, 일천팔백일 년에 인구 매 백 명이 일천구백 년에 이백육십삼 명이니 일배반이 늘었고, 일천팔백 년에 상업이 매 백 원 세입 가량이 일천구백년에 일천이백오십 원이니 십일배 반이 늘었고, 농업 우체 재조 부세 등물이 각각 십여 배 이상 일백오륙십 배가 는 것이 많은데, 그중 학문이 진보된 것은 겨우 육 배 가량이 늘었으니, 학문상 진보가 가장 더딘 줄을 짐작하겠도다.

서양 각국에는 일국의 재정을 의론할 적에 탁지부를 장치한 것을 의론하지 않고 다만 백성의 재정을 헤아려 비교하나니, 일천구백 년 처음에는 전국 재정이 이천이백 조원이니, 일백만이 일조라, 일천구백 년 끝에는 일만이천사백 조원이니 십 배가 넘어 남은지라. 전국 인민이 균평히 매 명에 분배하면 삼백삼 방(파운드) 씩 차지되니, 한 방이 십 원 가량이라. 그런즉 백 년 동안에 인구가 이배반이 늘고, 재물이 십여 배가 늘었으니, 그 굉장히 흥왕된 것을 가히 보겠더라

우리나라의 흥왕한 것을 볼진대, 백성은 날로 줄어들어 인구 조사를 빙거할 수 없고, 재정은 점점 줄어들어 상업 어업 농업 등 모든 이익을 낱낱이 남에게 잃으니 백성이 장차 살 수 없이 되어, 어두운 백성들은 그 근인을 깨닫지 못하고 혹은 인구가 많이 죽어야 하겠다 하며, 혹은 개화로 인연하여 이러하니 외국인만 없으면 여전히 태평 부요하겠다 하는지라.

이런 어두운 식견에 대하여 장황이 말할 겨를이 없으니, 영국은 당초 본방에 터가 좁고 백성이 많이 살 곳이 없는 고로 각국에 퍼져나가 재정을 벌어들인다거나 토지를 점령하여 저렇듯 되었고, 일본은 백성이 본방에 다 살기 어려워 각처에 식민지를 확정하며, 심지어 자유도한(自由渡韓)의 의론이 일어났나니, 백성 늘고 땅 좁은 것이 걱정 아닌 줄은 파혹할 것이다. 일본과 영국도 전에는 인구와 재정이 해마다 줄다가 법률 정치를 고처 개명상 주의를 발달한 이후로 흥왕하는 바라. 대한 관민들은 각기 상업 농업 각색 직무를 남보다 낫게 하며, 외국에 가서 재물을 벌어들일 주의를 생각할진데, 어찌 개화의 해를 홀로 당하리오. 하루 바삐 앞으로 나가기를 힘써야 되리로다.

그러나 진취된 일을 볼진대, 사오년 전까지 처사국(處士國)으로 지내다가 문호를 열고, 만국과 상통하며, 자주독립국으로 영은문(迎恩門0이 없어지고 독립문이 되었으며, 백성이 제국신민이 되어 각국과 동등 이익을 누리니, 허문상(虛文上)으로 보면 이렇듯 속히 진흥한 나라가 없다 할지라. 장차 오는 백 년 동안에는 얼마나 흥왕 될는지 한량이 없거니와, 우리 관민이 일심으로 힘써서 이 지나간 허문상의 흥왕이 참 실제상 이익 되기를 원하노라.

(다음 호는 1월 15일 제5권 제92호)

<편집자 주>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는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의 편집자다. 1970년에 서울상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80년에 비봉출판사를 설립했다. 그는 1994년에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를 역임했고, 1966년에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기봉 대표의 열정적인 협조 덕분에 독자들은 당시 시대상과 함께 젊은 이승만의 사고와 사상을 엿볼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큰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연재 중에 어떤 독자는 "이렇게 훌륭한 글들이 우리가 배운 교과서에 단 한 점도 실리지 않았다는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고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다"라고 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이 대한민국 교과서에 실리는 그날을 기다리며,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이번 연재는 지난 1권처럼 당시 보도된 날짜가 아닌 월, 수, 금요일 순으로 하여 1주일에 3번 전재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