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에 창간했다. 인터넷 뉴스 창간 전에 시스템 작업을 완료하고, 비봉출판사에서 출간한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3권 중 제1권을 지난해 9월 20일부터 올해 9월 19일까지 당시 보도 날짜를 따라 그대로 전재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약 125년 전의 시대상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독자들은 매일 혹은 며칠에 한 번씩 연재된 논설문집을 보면서 1권을 읽었다. 이제 창간 1주년을 맞아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에는 서재필이 조직한 학생청년회 ‘협성회’ 토론회를 이끈 이승만이 ‘협성회보’ 제작 편집을 맡았던 신문에서 수록한 것과 23세의 이승만이 '매일신문’을 창간 후 수록한 것 그리고 한성 감옥 복역 중(1899년~1904년)에 비밀리 집필하여 감옥 밖으로 보내 제국신문에 게재했던 수백 편의 논설 중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는 공화국이다. 공화국으로서 건국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은 현재의 시대 사람들에게는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잘못된 인식과 나쁜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하지만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 당시 대통령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미 그는 유일 후보로 최소 득표수를 너끈히 넘긴 당선자였다.
예나 지금이나 아랫사람 관리를 잘못하면 윗사람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지만, 이 나라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에게는 그 잣대가 너무도 가혹해 그의 훌륭한 업적은 논하는 것조차도 불편하게 되었다.
그러나, 만고의 진리 중 진실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론계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절대 변하지 않은 진실과 바로 잡아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서 다음의 내용은 제일 우선시 되어야 만이 이 땅에 살아 숨 쉬고 있는 모든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98년 4월 9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지인 '매일신문’이 창간한 날이다. 이 신문을 창간한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다. 그는 무지한 국민을 하루빨리 계몽해서 '똑똑한 국민’으로 만들고 싶어서 신문을 창간한 것이다.
하지만,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1896년 4월 7일 창간해서 오늘날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서재필의 피는 한국인지 모르지만, 그는 미국인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전시된 서재필에 관한 내용을 보면, 그는 이 땅에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당시 그는 철저히 미국인이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된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을 바꿔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인 '이승만’이 최초로 신문을 만들었다. 훗날 그는 대한민국의 건국 대통령이기도 했다.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인 만든 신문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로 정하자는 주장을 제기한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새롭게 평가하고, 그의 업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4월30일 제국신문 제5권 제93호에 실린 논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오년이 잠깐이라)
편할 때에 위태함을 잊지 말라 함은 자고로 정사(政事)하는 자의 평생 잊지 않을 바이거늘, 하물며 오늘날 대한은 비록 목전에 큰 화근이 없는 듯하나 실로 태평무사한 때가 아닌즉, 어찌 더욱 경계할 바 아니리요.
향자(向自)에 청국이 일이 있을 때에 우리가 누누이 말하기를, 지금 각국이 대한에 별로 상관치 않는 것은 청국이 분주한 연고라. 청국 일만 귀정(歸正)되면 곧 대한으로 주목하리니, 이전에 무사함을 편히 여기지 말고 급히 일하여야 남의 색책(塞責: 책임을 벗기 위하여 겉만 둘러대어 꾸밈)이라도 할 계재가 생기리라 하되, 귀 밖으로 듣고 여전히 지내다가 급기야 의화단(義和團)이 정돈되며 영일의 조약이 이루어지니, 각국이 대한에 주목하여 우리말과 틀림이 없는 줄을 가히 빙거할지라.
다행한 바는, 청국 일이 저만치 관후하게 조처되고, 인하여 대한 일에도 당장 화는 면하여, 오년 여한을 보아 가지고 종시 할 수 없으면 달리 변통하자 하였으니, 이 기회를 타서 우리가 일을 하려 하면 다행이 되려니와, 일을 아니 하고만 보면 장래 험한 일을 사람이 미리 측량치 못할 일이로다.
지금 세상 형편이 날로 변하므로 내두(來頭: 이제부터 닥쳐오게 될 앞)를 미리 말하기 어려운 중에, 더욱이 대한 일은 사람이 정신을 차릴 수 없으므로 내일 어찌될 것을 믿는 자 없으되, 외국에서 작정하고 행하는 일은 우리 정부나 백성이 홀로 앉아 막을 수도 없고, 외국 공론으로 되려는 것은 아니 되어 본 적이 없나니, 세상 공론이 아침 령(令)을 저녁에 고치는 것과 같지 않은 줄을 알아야 하겠도다.
어제 논설 폭에 외국 공론을 들어 볼진대, 어찌하여야 될는지 짐작도 있으려니와, 세상이 청국을 미약하다, 쇠패하다 함은 군사가 남보다 적다함이 아니라, 완고한 구습을 버리지 못하여 남의 경위를 찾지 못하고 위격(違格)으로만 남을 반대하니, 전국 인민 사억만 명이 다 군사가 되기로서 만국 경위를 반대하고야 어찌 능히 저당(抵當)하리요. 그러므로 적은 나라로도 남의 경위를 배워 나도 남과 같게 행세하여 가지고, 그 사람의 경위로 시비를 분석하자 할진대, 설령 강한(强悍)한 자가 경위 없이 나를 해하려 할지라도 각국의 관계를 위하여 막아줄 터이니, 이것이 참 강하게 되는 것이라.
이것을 하자 하면 아무리 죽기보다 싫을지라도 개명(開明)을 주의하여, 처음은 원숭이라는 지목을 들어가면서도 남 하는 일은 기어이 흉내라도 내어보려고 작정을 하여야 비록 하루 이틀에 부강할 지경에는 못 이를지라도, 남들이 다 장래 여망이 있다 하여 흔단(釁端)이 막히려니와, 종시 완고 변으로만 갈진대, 소위 암혈은사(巖穴隱事)라 하는 이들이 영웅호걸(英雄豪傑)일지라도, 외국 일에는 아주 밤중이니, 자기 생각에 아무리 잘한다 한들 세계에 반대하는 일이라 어찌 지탱하기를 바라리오.
그런즉 속으로는 누구를 의지하든지, 누구를 가까이 하든지, 오년 안에 하루바삐 작정할 것은 개명주의를 반포하여, 아무리 좋은 법이라도 옛것이라고는 일제히 정지하고, 새 법이라고는 아무리 싫을지라도 알고 본뜨기를 밤낮 쉬지 말아야 할 것이다. 또한 남 믿는 마음을 먼저 버려야 할지니, 남을 믿지 말라 함은 남을 다 의심만 하라 함이 아니라, 한두 외국이 나를 도와서 적국을 막아줄까 하는 생각을 버려야 하겠다 함이라. 사람을 이렇게 믿는 것은 장래의 위태함만을 염려한 것이 아니고, 당장 모든 사람의 시기와 분심을 격동하여 나를 없이 하고자 하는 생각이 나는 법인즉, 열 사람의 분을 일으켜 놓고 한 친구의 정의(情誼)로 능히 안연 무사하겠는가.
이 영일조약(英日條約)에 세계 각국이 기뻐하는 뜻을 표하였은즉, 각국이 좋게 여기는 뜻을 참량(參量: 참작)하여 행하면 그 일이 나에게도 대해(大海)가 되겠고, 겸하여 그 기쁘게 여기는 각국이 다 나의 공변된 친구가 되려니와, 만일 그렇지 않고 종시 내 길로만 갈진대 저 각국이 다 나의 적국이 될지라. 이렇게 된 후에 속으로 무엇이나 주어가며 정의를 사려하면 어찌 될 이치가 있으리오.
슬프다. 세월이 여류(如流)하여 다섯 해 동안이 잠시간이니, 이 다서 해 동안을 어찌 심상한 때에 비하여 다만 한두 날 시각인들 편안히 보내리오. 이 다섯 해 세월이 대한의 영원한 성쇠(盛衰)의 고동이 되리로다. 바라건대 우리 관민들은 날마다 잊지 말고 서로 깨우쳐 경동(驚動)하여 가며, 하루 한 가지씩이라도 배우고 행하여 열리는 사람이 날마다 늘며, 사업이 날마다 하나씩 늘어서 각국에 명예가 생기며, 명예 중에서 정의(情誼)가 생기기를 밤낮 힘쓸지어다.
(다음 호는 1월 19일 제5권 제97호)
<편집자 주>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는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의 편집자다. 1970년에 서울상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80년에 비봉출판사를 설립했다. 그는 1994년에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를 역임했고, 1966년에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기봉 대표의 열정적인 협조 덕분에 독자들은 당시 시대상과 함께 젊은 이승만의 사고와 사상을 엿볼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큰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연재 중에 어떤 독자는 "이렇게 훌륭한 글들이 우리가 배운 교과서에 단 한 점도 실리지 않았다는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고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다"라고 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이 대한민국 교과서에 실리는 그날을 기다리며,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이번 연재는 지난 1권처럼 당시 보도된 날짜가 아닌 월, 수, 금요일 순으로 하여 1주일에 3번 전재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