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에 창간했다. 인터넷 뉴스 창간 전에 시스템 작업을 완료하고, 비봉출판사에서 출간한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3권 중 제1권을 지난해 9월 20일부터 올해 9월 19일까지 당시 보도 날짜를 따라 그대로 전재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약 125년 전의 시대상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독자들은 매일 혹은 며칠에 한 번씩 연재된 논설문집을 보면서 1권을 읽었다. 이제 창간 1주년을 맞아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에는 서재필이 조직한 학생청년회 ‘협성회’ 토론회를 이끈 이승만이 ‘협성회보’ 제작 편집을 맡았던 신문에서 수록한 것과 23세의 이승만이 '매일신문’을 창간 후 수록한 것 그리고 한성 감옥 복역 중(1899년~1904년)에 비밀리 집필하여 감옥 밖으로 보내 제국신문에 게재했던 수백 편의 논설 중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는 공화국이다. 공화국으로서 건국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은 현재의 시대 사람들에게는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잘못된 인식과 나쁜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하지만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 당시 대통령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미 그는 유일 후보로 최소 득표수를 너끈히 넘긴 당선자였다.
예나 지금이나 아랫사람 관리를 잘못하면 윗사람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지만, 이 나라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에게는 그 잣대가 너무도 가혹해 그의 훌륭한 업적은 논하는 것조차도 불편하게 되었다.
그러나, 만고의 진리 중 진실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론계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절대 변하지 않은 진실과 바로 잡아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서 다음의 내용은 제일 우선시 되어야 만이 이 땅에 살아 숨 쉬고 있는 모든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98년 4월 9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지인 '매일신문’이 창간한 날이다. 이 신문을 창간한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다. 그는 무지한 국민을 하루빨리 계몽해서 '똑똑한 국민’으로 만들고 싶어서 신문을 창간한 것이다.
하지만,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1896년 4월 7일 창간해서 오늘날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서재필의 피는 한국인지 모르지만, 그는 미국인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전시된 서재필에 관한 내용을 보면, 그는 이 땅에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당시 그는 철저히 미국인이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된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을 바꿔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인 '이승만’이 최초로 신문을 만들었다. 훗날 그는 대한민국의 건국 대통령이기도 했다.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인 만든 신문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로 정하자는 주장을 제기한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새롭게 평가하고, 그의 업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5월6일 제국신문 제5권 제98호에 실린 논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농업 발달의 주의)
자고로 농업은 천하에 큰 근본이라 하였나니, 농사가 아니면 사람의 식물이 생길 곳이 없는 연고라, 지금 태서 각국에서 상업으로 제일 힘을 많이 쓰나 농업을 적게 여기는 것이 아니요, 실상인즉 농민이 낸 토산 곡물과 공장이 낸 제조 물화를 매매 무역하는 자 없으면, 영국같이 토박하여 식물이 부족한 나라에는 다만 손으로 제조한 물건만 쌓아놓고 출포시키지 못하며 먹을 것은 극귀하여 항상 기한(飢寒)을 면치 못할 것이요, 미국 같이 토옥(土沃)한 나라는 각색 곡식과 면화 목재 등 각색 긴요한 재료가 한량없이 쌓여 이루 다 먹고 쓰지 못하되, 돈을 두고 주린 타국의 백성을 살릴 도리가 없을지라. 그러므로 상고(商賈)가 있어 각 지방에 있고 없는 것을 무역 매매하여 세상이 널리 이익을 누리게 하며, 타국의 긴요한 재리(財利)를 내 나라로 모아들이자 함이니, 과연 부국이민(富國利民)할 방책이 상업에 지나는 것이 없도다.
그러나 만일 내 나라에 토산 물화가 없으면 무엇을 수출하여 타국의 재물을 수입하리요. 불과 외국 물품을 실어 들여 내 나라에 와서 썩어 없어지고 영원히 긴용할 금 은 동 철 등물이 만국으로 빠져 나가리니, 필경은 그 나라에 고혈이 말라 백성이 거산(擧散)할 지경을 면치 못하리니, 그 형편을 보고 앉아 상업만 위주할진데, 가령 외국에서 제조한 물건을 내 손으로 실어들이고 몇 천원 몇 만원의 이익을 볼지라도 실상은 자기 일신상 이익만 되었지 전국에는 은근히 해가 되는지라. 마땅히 후에야 비로소 나도 이롭고 전국이 다 이로울지라. 그럼으로 물품을 만들어 내는 것이 상업(商業)의 근본이라 하겠도다.
그러나 물품을 제조하자면 그 재료가 먼저 본토에서 생겨야 그 이익이 온전할지라. 본토 물산으로 말하여도 금 은 동 철 석탄 보석 등 류는 다 한량이 있어 다 캔 후에는 더 생기지 아니하되, 각색 곡물과 면화와 초재(草材)와 목재와 차, 실과(實果) 등 물건은 인력만 들이면 한량이 없나니, 아라사는 목재로 각국 재물을 수입하며, 미국은 곡물과 면화로 수출 물화의 거액을 삼나니, 농업이 실로 제조물의 근본이 될지라, 어찌 국민의 가장 힘쓸 바 아니리요, 지금 우리나라에도 공상(工商) 등 각색 사업이 하나도 확장되지 못하였으나, 출구(出口) 시켜 외국 재물을 바꾸어 들이는 것은 다만 곡식 한 가지라. 이 외에 만일 농업을 확장하면 그 이익이 어떠하리오.
우리나라 사람들은 말하기를, 우리나라에 농업은 남만치 못하다 하나, 실상은 전국 토지 삼분지 이가 아직도 개척되지 못한 땅이라. 외국 제도를 모본하여 각처 토리(土理)와 기호를 조사하여 곡식이나 나무의 합당한 것을 가리어 심으며, 물 없는 곳은 인수(引受)하여 개척하며, 물 많은 곳은 빼어 마르게 하며, 기계를 써서 수삼 백 명에 힘을 한두 사람이 대신하게 하여 삼분지 이에 버려둔 땅을 낱낱이 개척하여 놓았으면, 전국 인민이 개명의 이익도 알 것이오. 오늘날 이 곤궁한 기한(飢寒)도 면할 것이오. 인하여 공장제조와 무역통상이 날로 흥왕하여 부강지역으로 스스로 나아갈지라. 부국(富國)할 근본이 어찌 이에 있지 않으리오. 소위 경장(更張) 이후로 백성이 아직까지도 개화의 참 이익은 보지 못하고 도탄만 날로 심하니, 무식한 백성들이 어찌 개화를 싫어하여 심지어 철로로 인연하여 비가 아니 온다는 말이 생기지 않으리오.
그러나 이런 일은 다만 정부에서만 하려 하여도 재력이 부족하여 일조일석에 못될 것이라. 마땅히 백성이 먼저 그 이해를 알아 날로 개명학식을 힘쓸진대 상하가 동심합력(同心合力)하여 날마다 진취될 기상이 있을지라. 만일 그렇지 아니하면 이 좋은 토지를 그저 썩혀두고 백성은 궁곤빈한(窮困貧寒)을 면할 날이 없을 터이니, 필경 타국이 대신하여 개척하는 경위가 생길지라.
일인 조선협회(朝鮮協會)의 대지(大旨)에, 농업을 찬조한다는 뜻이 곧 이것이니, 이는 일본이 처음 시작한 것이 아니고, 만국공법의 본의가 천하만국을 일체로 열어놓아 버린 지방과 폐한 물건이 없도록 만들자 함인즉, 그 본토 백성이 이것을 모르면 남이 알아 행하게 하며, 알고도 행치 아니하면 부득이 하여 남이 대신 행하나니, 남이 대신하는 날은 그 본방(本邦) 주장자의 권리는 없어지나, 어찌 그 주장자 한 사람의 완고하고 편벽됨을 인연하여 하늘이 낸 토지와 물건을 폐하여 두고 만국의 이익을 폐하리오 함이니, 이는 폐치 못할 일이라.
그런즉 우리나라 관민 간에 외국 하등인민이 날로 들어와 이익을 점령하는 것을 억지로 막으려 하면 모래로 바다 막는 모양이니, 관민이 합의하여 남이 하려는 각색 일을 내 손으로 먼저 하여 놓으면 남은 자연 막힐 터이니, 지금이라도 개명만 힘쓸진대 농업으로도 하늘에 숱한 재앙을 두려워 아니하며 부강 안락으로 나아가리로다.
(다음 호는 1월 24일 제5권 제99호)
<편집자 주>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는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의 편집자다. 1970년에 서울상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80년에 비봉출판사를 설립했다. 그는 1994년에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를 역임했고, 1966년에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기봉 대표의 열정적인 협조 덕분에 독자들은 당시 시대상과 함께 젊은 이승만의 사고와 사상을 엿볼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큰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연재 중에 어떤 독자는 "이렇게 훌륭한 글들이 우리가 배운 교과서에 단 한 점도 실리지 않았다는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고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다"라고 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이 대한민국 교과서에 실리는 그날을 기다리며,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이번 연재는 지난 1권처럼 당시 보도된 날짜가 아닌 월, 수, 금요일 순으로 하여 1주일에 3번 전재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