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일본과의 경쟁 속에 자동차 수출 경쟁력을 지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
24일(현지시간)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워싱턴DC 상무부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협상을 벌인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한국은 유럽처럼 협상 타결을 강하게 원한다”며 “한국이 일본의 미국과의 합의를 보고 강하게 반응했다.
한국과 일본은 서로 경계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일본의 협상 타결을 보고 당황했을 것이고, 오늘 내 사무실에서 대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미국이 한일 경쟁 구도를 활용해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일본은 앞서 미국에 5천500억 달러(한화 약 750조 원) 규모의 투자를 약속하고, 자동차와 쌀 시장을 개방하는 조건으로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합의했다.
자동차는 한일 양국의 대미 주력 수출 품목이다.
한국이 일본과 동등한 관세 인하를 이루지 못하면 대미 수출에서 불리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이 한국에 추가 양보를 압박할 가능성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