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사진=연합뉴스

한미 관세 협상 시한 이틀을 앞둔 30일, 삼성전자와 현대차그룹, 한화그룹 등 한국 핵심 산업 총수들이 미국으로 총출동해 협상 타결에 힘을 보태고 있다.

재계는 한국 경제의 명운이 걸린 이번 협상을 지원하기 위해 현지 네트워크를 총동원하며 공급계약과 기업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재계에 따르면, 지난 28일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에 이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관세 협상 지원을 위해 미국을 찾았다. 이들은 반도체와 자동차, 조선 등 국내 핵심 산업을 대표하며, 자사 사업의 미래를 좌우할 협상에 자발적으로 나섰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협상에 힘을 보태고 있다”며 “정부가 요청한 것은 아니지만, 기업들에게도 중요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4월부터 부과된 미국의 자동차 관세로 2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20% 가까이 감소하는 타격을 받았다.

정의선 회장은 지난 3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루이지애나주 철강 공장 건설을 포함한 210억달러(약 290조원) 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그는 성 김 대외협력 사장을 통해 미국 내 네트워크를 활용해 자동차 관세 인하를 적극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미국이 주목하는 조선산업 협력을 이끌고 있다. 한화오션은 국내 유일의 미국 현지 조선소를 보유하며, 정부가 제안한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 MASGA(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를 구체화하는 데 조언하고 있다.

김 부회장은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과 무도회에서 마크 루비오 국무부 장관과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 등을 만나 공화당 인맥을 구축한 바 있다.

출국하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사진=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반도체가 관세 품목으로 추가될 가능성에 대비해 2030년까지 370억달러(약 51조원) 이상을 투자해 미국 내 반도체 생산 거점을 마련한다는 계획을 현지 정·재계에 알릴 예정이다.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은 지난주부터 미국 상·하원 의원을 만나 협상 타결을 막후 지원하고 있다.

재계는 협상 데드라인을 맞아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8일 미국 테슬라와 22조8천억원 규모의 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체결해 내년부터 테일러 공장에서 테슬라의 차세대 AI칩 AI6를 생산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테슬라와 5조9천442억원 규모의 리튬인산철(LFP, 리튬인산철, Lithium Iron Phosphate) 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었다.

셀트리온은 미국 내 대규모 원료의약품(DS, 원료의약품, Drug Substance) cGMP(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생산 시설 인수 입찰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중간).사진=현대자동차·기아.연합뉴스


재계 관계자는 “주요 기업 총수들이 한꺼번에 미국을 방문하는 것은 드문 일”이라며 “협상 타결의 절박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