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7월9일 목요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내외 법 변할 일)

서양 각국에 내외 법(內外法, 편집자 해석: 남녀 유별(男女有別)) 없는 줄은 다 짐작하려니와, 우리나라 사람들은 자고로 내외 하는 것이 교회와 예절에 가장 높은 뜻으로 아는 고로, 남이 내외 아니 하는 것은 곧 무례한 오랑캐의 풍속으로 아나, 실상은 내외 아니 하는 데서 예모가 더 생기며 교화가 더욱 높여지는 법이라.
대개 내외 분별하는 본의는 다름 아니라 사람의 음풍(淫風, 편집자 해석: 음란하거나 퇴폐적인 분위기)을 막자 함이니, 비유하건데 수말을 암말과 함께 세우지 않음과 같아서, 서로 보지 않고 떨어져 있으면 관계치 않다 함인즉, 어찌 사람 대접하는 도리라 하리요. 저 짐승은 일러도 듣지 못하고 가르쳐도 화할 수 없는 고로 부득이 따로 두려니와, 사람은 만물의 신령이라 하여 인의에지의 교화가 있거늘, 사람의 마음을 화하여 스스로 음욕이 끊어지게 하지 못하고 외면으로만 막으려 하니, 불과 이목(耳目, 편집자 해석: 귀와 눈)만 가리고 마음은 화할 수 없는 이치로 여김이라. 은근히 음심(淫心, 편집자 해석: 성적으로 부도덕하거나 탐욕스러운 욕망)을 기름이니 어찌 실상 근원이 막히리오. 만사가 다 마음에서 생겨 되는 바이거니와, 더욱 음심은 마음먹기에 있는지라.
사람마다 생각하기를, 남녀는 만나면 의례히 합하는 이치요, 또한 이것이 세상에 좋은 것으로만 알진데, 어찌 이목 가리기를 어려워 못하며, 무엇으로 능히 금단(禁斷, 편집자 해석: 어떤 행위나 물질을 금지하거나 중단하는 것)하리요만은, 다만 심중에 생각하고 사람마다 알기를, 이것은 세상에 부정한 개와 돛의 행실이라, 친 부부 외에는 당초에 합하지 못하는 이치와 법으로 알진데, 함께 있을지라도 곧 남자나 여자끼리 있음과 다름이 없을지라.
그러므로 국법을 마련하여 한 본처 외에는 다른 처첩을 두지 못하며, 남자끼리 있을 때에도 음담패설을 못하나니, 이는 사람의 마음이 말하는 데서 생기기 쉬울뿐더러, 부인을 대하여도 실체가 없고 더욱 엄숙할지라. 사람마다 어려서부터 교육하여 남녀의 분간을 마음으로 하게 하는데, 이런 법으로 가르치는 학문과 서책이 또한 한이 없는지라. 이 교화에 화하여 사람마다 스스로 금할진대 이 어찌 정결한 세상이 아니리요. 이것이 곧 성인이 가르치신 바에 제 몸을 이기어 예(禮)에 회복한 다 함이라. 저 교화와 예절의 한층 더 높음이 어찌 부럽지 않으리오.
하물며 남자의 의심을 인연하여 여자는 일평생을 가두어 보내니, 천지간에 무죄한 죄인이라, 이것이 아주 풍속이 되어 피차 의례건으로 아는 고로 괴롭게 여기지 않거니와, 그 본의를 생각하면, 여자의 부모 처자 된 자가 자기를 내어 놓기만 하면 곧 변통이 날 줄로 의심하여 가두어 세상을 못 보게 함이니, 어찌 인류로 대접함이라 하며, 또한 그 평생을 생각할진데 어찌 가련한 목숨이 아니리요.
천지의 광대함과 산천의 수려함과 인간의 화락함과 희로애락의 감정을 남과 같이 못하고, 생산의 괴로움과 살림의 궂은일은 다 맡아 다스리며, 안한무사(安閒無事, 편집자 해석: 현실에 안주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하지 않는 태도)한 장부의 평생을 위하여 종노릇으로 세상을 마치니, 일생의 낙이 무엇인지, 인생의 동등 권리가 무엇인지 모르는지라, 어찌 공평타 하리요.
만일 내외를 공평히 정할진대, 날마다 반 일은 여자가 갇히고 반 일은 남자가 갇히거나, 며칠은 여자가 들어앉으면 며칠은 남자가 또 들어앉거나 하여, 피차 같이 하여야 비로소 공평타 할 것이거늘, 어찌 하늘이 여자만 설움을 당하게 만드렀으리요. 다만 기질이 남자보다 약하여 부득이 남의 절제를 받는다고 하여, 강한 자의 임의로 남의 정경(情景, 편집자 해석: 어던 상황이나 장면이 주는 정서적인 느낌)을 생각지 않아서야 천지에 화기를 어찌 보전하며, 짐승의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잡아먹는 뜻에서 다를 것이 없을지라. 이로 인연하여 국민의 사업과 교육상의 방해가 불소하고 또한 외국의 수치를 면치 못하나니, 내외 하는 풍속을 고치는 것이 가장 중대한 관계라.
그러하나 지금 이 교육과 형편에 내외를 트고 보면 첫째, 여인에게 문란한 풍습이 생기겠고, 둘째 부인이 무리한 욕을 면치 못할지라. 마땅히 부인의 교육을 먼저 힘써 남과 접제하는 법과 언어 행동에 몸 가지는 도리며, 제 몸을 자중(自重, 편집자 해석: 자기를 소중히 여김)이 처하기와, 남 대접을 공손히 하여 자기의 천생 권리를 지키기에 값이 있는 줄을 알아야 여인이 강성하며, 가도가 문란하여지는 폐단이 없이 스스로 정결한 풍도와 화락한 성질이 생겨 무리한 욕을 당치 않을 것이고, 한편으로 풍속을 변하여 남자끼리 모여 음담 패설하는 악습을 일절 금하여야 될지라.
우리나라에 공경사부(公卿士夫, 편집자 해석: 나라의 고위 관료와 지식인 계층 전체를 아우르는 말)라 하는 이들도 모여 앉아 헌화(獻花, 편집자 해석: 아름다움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행위) 작담(作談, 편집자 해석: 이야기를 나누다)할 때에 보면, 어미를 두고 맹세하거나, 여자를 가르켜 음담 함이 참 사람의 입에 담지 못할 말이 많아, 조금이라도 교화에 힘을 입은 자는 들으면 얼굴이 뜨뜻할 때가 많은지라. 대개 사부(士夫, 편집자 해석: 지식인 계층)라 하는 사람은 국중에 풍화를 인도하는 자이라, 하민(下民, 편집자 해석: 벼슬이나 신분적 특권을 갖지 못한 일반 백성)이 자연 화하여 딸려가는 바이거늘, 이 인도자들이 이러한 후에야 아래 백성이야 일러 무엇 하리오. 여인이 있으나 없으나 말 세 마디면 욕설과 음담을 번번이 두 마디에 내리지 아니하니, 각국 중에 구습이 고약한 나라는 대한 같은 자 없는지라. 어찌 수치스럽지 않으리오.
소위 상등인의 마음인즉, 상놈의 계집은 본래 점잖지 못하니 아무래도 관계치 않고 사부의 부인은 절기가 있으니 감히 못한다 하는지라.
성인의 도가 양반만 오륜(五倫, 편집자 해석: 다섯 가지 윤리적 원리-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알고 상놈은 모른다 할 이치 없고, 또한 음란치 않는 것은 여인을 위함이 아니라 자기의 행실을 높이 하여 일국의 민풍(民風, 편집자 해석: 민간 생활과 연결되 신앙, 습관, 풍속, 전설, 기술, 전승 문화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을 정결케 하여 함이거늘, 이것을 모르고 상한(常漢: 상놈)이나 노예들을 대하여는 버릇없이 회담을 청하여 풍속을 더럽힌다.
상한이라 하는 사람들은 자기 몸을 낮추어, 우리 상놈은 아무래도 관계치 않다 하여 음란 부정한 대로 길에 지나는 여인이 있으면 상하를 물론하고 손가락질 하며, 웃기와 더러운 맹세와 패설로 체면을 붙고하니, 이 중에서 풍속이 괴패(壞敗, 편집자 해석: 무너지고 패배함)하여 지금은 어찌할 수 없이 되었은즉, 점잖은 부인네가 길에 나서기를 누가 좋아하리오.
이것이 우리나라 교육과 문명상으로 나아가기에 긴중히 관계되는 것이니, 이로부터 국법도 마련하여야 되려니와, 위선 백성이 먼저 스스로 고쳐서 나 먼저 악습을 버리며, 남의 악습을 내 힘자라는 대로 가르치며 말려서 국가 교육의 기초를 먼저 잡아 놓을지어다.

(다음 호는 8월2일 제5권 제156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