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한국이 3천500억달러(약 487조원)를 미국에 투자하고 1천억달러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천연가스, Liquefied Natural Gas)를 구매하는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는 무역 합의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과 면담 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사회관계망서비스, Social Networking Service) 트루스소셜에 “미국이 한국과 전면적이고 완전한 무역 합의를 체결했다”며 “한국은 미국이 소유하고 통제하며 대통령인 내가 선택하는 투자를 위해 3천500억달러를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한국은 추가로 1천억달러 상당의 LNG나 기타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고, 투자 목적을 위해 큰 액수를 투자하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액수는 2주 내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이 백악관 양자회담에서 발표할 것”이라며 “새 대통령의 선거 승리를 축하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미국과의 교역에 완전히 개방하며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에 대한 관세는 15%로 합의했으며, 미국은 관세를 부과받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악관 향하는 구윤철 경제부총리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30일(현지시간)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면담을 위해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서쪽 출입문 검문소를 통과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한국 정부 대표단은 이날 오후 4시30분께 백악관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면담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참석했으며, 대표단은 오후 6시께 백악관을 떠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후 6시16분께 SNS에 합의 소식을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8월 1일부터 한국이 합의에 이르지 않을 경우 25%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으며, 한국 정부는 상호관세와 자동차·철강 품목별 관세를 낮추기 위해 협상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발표에서 자동차와 철강 등 품목별 관세는 언급하지 않았다.

15% 상호관세율은 일본과 유럽연합(EU, 유럽연합, European Union)과의 합의와 동일하다.

일본은 5천500억달러를 미국이 선정하는 사업에 투자하며 수익의 90%를 미국이 가져간다고 트럼프 행정부가 밝혔으나, 한국 투자에 대한 수익 배분은 언급되지 않았다.

미국은 일본의 투자금을 에너지와 반도체, 핵심광물, 의약품, 조선 등 전략 산업에 투입할 계획이며, 한국의 투자금도 유사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