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 설명.사진=연합뉴스

중국이 전체 118종 원소 중 30종의 생산량 점유율에서 50% 이상을 차지하며 글로벌 공급망을 주도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0일 미국 지질조사국(USGS) 데이터를 인용해 보도했다.

국가별 점유율이 확인된 65종 원소 중 36종은 한 국가가 과반을 점유하며, 이 중 중국은 희소 금속 33종을 포함한 30종을 장악했다. 특히 인듐(액정 디스플레이)과 비스무트(위장약 원료)의 정련 제품 점유율은 70%를 초과한다.

중국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응해 희토류 수출을 제한하며 이를 정치적 협상 도구로 활용, 미국과 일본의 일부 자동차 제조업체가 생산을 중단하는 사태를 초래했다.

닛케이는 “중국 정부가 금속과 광물을 정치적 흥정 재료로 사용한다”고 지적했다.

다른 국가들도 특정 원소의 생산을 독점하거나 규제한다.

브라질은 내열성 철강에 사용되는 나이오븀(니오븀)의 91%, 칠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용 아이오딘의 67%를 생산한다. 인도네시아는 니켈(약 60%) 수출을 금지하며 공급망 통제를 강화했다.

닛케이는 광물 채굴이 인권 침해와 환경 파괴로 이어지며, 채산성 문제나 규제로 생산이 특정 국가에 편중된다고 분석했다. 원소가 정치적 거래 수단으로 확산되면 전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본은 희귀 원소 자급을 위해 오가사와라 제도 미나미토리시마 인근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 2026년 1월 시험 채굴을 시작한다.

스미토모금속광산은 2026년 6월 리튬이온 전지 재활용 공장을 완공하고, 닛산자동차와 와세다대는 전기차에서 네오디뮴 추출 실험을 진행 중이다.

닛케이는 “일본은 자원 자급 체제와 기술 개발로 안정적 조달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