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교육청.사진=연합뉴스


전남지역 교육 관련 단체 연합기구인 전남교육회의는 20일 ‘민선 4기 김대중 전남도교육감 2주년 교육정책 평가 여론 설문조사 보고서’를 발표하며, 김대중 전남도교육감의 직무수행 만족도와 정책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긍정적 평가를 앞섰다고 밝혔다.

전남도교육청은 설문의 표본 한계와 문항 편향성을 지적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설문조사는 6월 24일부터 7월 13일까지 전남교육회의 회원 및 단체 소속 도민 1천19명(학부모 296명 포함)과 교직원 1천457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방식으로 진행됐다.

도민 대상 설문에서 직무수행 만족도는 부정적 응답이 41.31%, 긍정적 응답이 37.38%로 나타났다.

교육감의 혁신 실천 여부도 부정적 응답 42.4%, 긍정적 응답 39.35%로 부정적 평가가 우세했다.

특히 학생 기초학력 향상에 대해서는 50.73%가 ‘아니다’ 또는 ‘비교적 아니다’로 답해 긍정적 응답(30.23%)을 크게 앞질렀다.

소통·민원 처리에서는 긍정적 응답이 많았으며, 인사·예산 청렴성은 긍정(40.14%)과 부정(39.74%)이 비슷했다.

교직원 대상 설문에서도 부정적 평가가 두드러졌다. 직무수행 만족도는 부정 51.8%, 긍정 32.8%였으며, 교직원 소통은 부정 57.8%, 긍정 28.2%로 격차가 컸다.

청렴도 향상은 긍정 45.6%, 부정 29.5%로 긍정 평가가 앞섰으나, 근무환경 개선 및 권익 보호는 부정 57.5%, 긍정 30%로 부정적 응답이 많았다.

교육감 정책 중 가장 잘한 점을 묻는 질문에는 27.7%가 ‘잘 모르겠다’고 답했으며, 가장 미흡한 정책으로 학교구성원 근무여건 개선이, 최우선 과제로 교사 수업 전념 환경 조성이 꼽혔다.

전남교육회의 관계자는 “설문은 회원 중심으로 진행돼 표집 대표성에 한계가 있지만, 교육정책에 대한 여론을 살펴볼 시사점을 제공한다”며 “도교육청이 결과를 무겁게 받아들여 반영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전남도교육청은 즉각 입장자료를 내고 “일부 단체 회원 중심의 설문이 도민 전체 여론으로 둔갑한 것은 문제”라며 “문항이 부정적 전제를 포함해 결과를 왜곡했다”고 반발했다.

또한 “긍정적 성과가 의도적으로 축소·배제됐다”며 “객관적 자료와 현장 목소리를 바탕으로 교육 행정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설문 결과는 김대중 교육감의 재선 도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민감한 사안으로, 향후 도교육청의 대응과 여론 변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