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 최근 북한군 동향 공개
합참은 지난해 12월23일 언론에 배포한 '최근 북한군 동향' 자료를 통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중 1천1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을 확인했으며, 북한군은 현재 교대 또는 증원 파병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또한 남북 군사분계선(MDL) 일대 경계를 강화하면서 대남 풍선 부양 준비를 이어가고 있으며, 연말께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급 극초음속 미사일을 발사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사진은 전선지역 철책 설치하는 북한군.사진=연합뉴스
북한이 휴전선 부근에서 공사 중인 자국 군에게 한국군이 경고 사격을 가했다며, 이러한 도발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강력히 요구했다.
북한군 총참모부의 고정철 육군 중장(부총참모장)은 23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고정철 중장은 담화에서 지난 8월 19일 한국군이 남쪽 국경선 부근에서 '차단물 영구화 공사'를 진행 중인 북한 군인들에게 12.7밀리미터(㎜) 대구경 기관총으로 10여 발의 경고 사격을 가하는 "엄중한 도발 행위를 감행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 공사가 "정상적인 국경 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대한민국과 접한 남부 국경을 영구적으로 봉쇄하기 위한 차단물 공사"라며, 이는 "군사적으로 예민한 남부 국경 일대의 긴장 격화 요인을 제거하고 안정적 환경을 담보하기 위한 것으로 그 누구에게도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고정철 중장은 우발적 충돌을 막기 위해 지난 6월 25일과 7월 18일 등 두 차례에 걸쳐 주한미군 측에 공사 관련 내용을 통지했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사 인원들을 자극하는 도발 행위들은 여전히 지속될 뿐 아니라 오히려 더욱 악의적으로 변이되어 폭발적으로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확성기 도발 방송이 점차 한국군 3사단, 6사단, 15사단, 28사단 등 여러 부대들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제는 '사격하겠다'는 위협적인 망발이 일상화되고 있는 정도"라고 주장했다.
고정철 중장은 한미연합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습이 진행되는 와중에 한국군이 경고 사격을 한 것은 "군사적 충돌을 노린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도발 행위"라며, "위험천만한 도발 행위를 즉시 중지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만일 "군사적 성격과 무관한 공사를 구속하거나 방해하는 행위가 지속되는 경우 북한 군대는 이를 의도적인 군사적 도발로 간주하고 상응한 대응 조치를 취하게 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한편, 우리 군은 비무장지대(DMZ)에서 공사 중인 북한군이 군사분계선(MDL)에 접근할 경우 경고 방송을 실시하고, 군사분계선(MDL)을 침범하면 이남 지역을 향해 경고 사격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 4월부터 군사분계선(MDL) 인근과 비무장지대(DMZ) 북측 지역에 다수의 병력을 투입하여 삼중 철책을 설치하고 대전차 방벽을 세우는 작업 등을 진행 중이다.
이는 북한 김정은이 2023년 말에 주창한 '적대적 두 국가론'에 따라 군사분계선을 국경선화하려는 의도라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