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외교장관, 워싱턴서 회동…한미정상회담 사흘 앞 의제 조율
조현 외교부 장관이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을 사흘 앞둔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조현 외교부 장관이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을 사흘 앞둔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국무장관과 만나 회담 의제를 조율했다.
조 장관은 한국 시간으로 지난 21일 갑작스레 미국 출장길에 올라 전날 밤 워싱턴 디씨(DC)에 도착했으며, 23일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만나 정상회담에서 논의될 미래지향적 의제와 안보, 경제,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성과 사업을 점검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조현 장관은 이번 한미정상회담의 역사적 의의와 중요성을 강조하며, 성공적인 회담을 위해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각별히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첫 한미정상회담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며, "양측에 승리를 안겨주는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회담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화답했다.
특히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을 먼저 방문하고 미국을 찾는 것을 "현명한 선택"으로 본다며, 미국 역시 한미일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 국무부 토미 피곳 부대변인 명의의 자료에 따르면, 두 장관은 "한반도와 인도·태평양에서 평화와 안보, 번영의 핵심 축으로 70년 이상 유지돼 온 한미 동맹의 지속적인 강점을 강조했다"고 한다.
피곳 부대변인은 또한 두 장관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억지력을 강화하고 집단 부담 분담을 확대하며, 미국 제조업의 재활성화를 돕고, 공정성과 상호성을 회복하는 미래지향적 의제를 중심으로 한미동맹을 진전시키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설명하며 "한미일 3국 협력의 중요성도 강화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미국이 원하는 동맹 현대화 논의의 일환으로,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확대와 함께 한국이 중국 견제에 더 큰 역할을 해달라는 의미로 해석되어 정상회담에서 어떤 논의가 오갈지 주목된다.
두 장관은 북한 문제 및 지역 정세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조현 장관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한국의 대북 대화 의지와 신뢰 구축 노력을 설명했으며, 양측은 대북 정책 관련 긴밀한 공조를 지속하기로 했다.
이들은 또한 지난 7월 타결된 관세 합의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일부 합의되지 않은 사안이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상 당국 간 진행 중인 협의가 원만하게 좁혀질 수 있도록 계속 독려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회동에는 앤드류 베이커 부통령 국가안보보좌관 겸 국가안보부보좌관도 함께했다.
루비오 미 국무장관도 이날 엑스(X, 옛 트위터)에 글을 올려 조현 장관과 만나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재확인했다"며 "우리의 파트너십은 미래 지향적인 의제들을 중심으로 인도·태평양 전역의 평화, 안보, 그리고 번영에 핵심적인 요소"라고 밝혔다.
한편 조현 장관은 백악관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도 만나 한미 관세 후속 협의를 조속히 마무리하여 차질 없는 한미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양국의 산업·에너지·교역 분야 협력 및 최근 한미 간 합의한 무역 협정과 관련된 정상회담 의제는 이날 미국에 도착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측 카운터파트와 조율하고 있다.
김정관 장관은 이날 오후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장관을 만났으며,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전날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