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가을철 선선한 날씨로 등산, 성묘, 야외 작업 등 바깥 활동이 늘어나며 진드기 물림에 의한 감염성 질환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고려대 안암병원 감염내과 서진웅 교수는 “가을철 야외활동 시 긴소매 옷과 긴 양말로 피부 노출을 줄이고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해야 한다”며 “감염 의심 시 즉시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로 합병증을 예방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진드기 감염병인 쓰쓰가무시병,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라임병은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쓰쓰가무시병은 털진드기 유충에 의한 급성 열성 질환으로, 유충이 사람의 호흡 냄새를 감지해 피부에 붙어 흡혈하며 쓰쓰가무시균을 전파한다.

지난해 국내에서 6천268건이 발생했으며, 83.7퍼센트(%)인 5천246건이 1012월에 집중됐다.

주로 팔, 다리, 목 등 노출된 습한 피부 부위를 물며, 13주 잠복기 후 오한, 고열, 두통, 기침, 구토, 근육통, 복통, 인후통, 전신 발진, 물린 부위 가피(딱지) 등이 나타난다.

중증이 아니면 수일간 고열 후 회복되지만, 방치 시 뇌수막염, 장기부전, 패혈증으로 악화될 수 있다.

항생제 치료가 원칙이며, 긴 옷 착용, 진드기 기피제 사용, 활동 후 즉시 샤워가 예방법이다.

자료=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참진드기에 의한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치명률이 18.5퍼센트(%)에 달해 ‘살인 진드기’로 불린다.

올해 9월까지 170명이 발생해 지난해 총 환자 수(170명)에 이미 도달했다.

감염된 환자의 혈액·체액이나 반려동물(개, 고양이)을 통해 2차 감염이 가능하다.

5~14일 잠복기 후 38℃ 이상 고열, 근육통, 설사, 오심, 두통이 나타나며, 중증 시 호흡곤란, 의식저하,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진행된다. 백신은 없으며, 초기 병원 방문이 중요하다.

예방을 위해 잔디나 풀밭에서 피부 노출을 피하고, 30분 이상 앉거나 눕지 않으며, 외출 후 옷과 몸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라임병은 보렐리아균을 보유한 진드기에 의해 감염되며, 국내에서 매년 20~40명, 올해 9월까지 21명이 발생했다.

초기 증상으로 발열, 두통, 피로감과 함께 ‘황소 눈’ 모양의 발진(이동홍반)이 특징이다.

치료하지 않으면 뇌염, 신경염, 심근염, 부정맥, 관절염으로 악화될 수 있지만, 독시사이클린, 아목시실린 등 항생제로 완치 가능성이 높다.

진단은 병력, 신체검진, 혈청검사, 중합효소연쇄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또는 뇌척수액 검사로 이뤄진다.

예방법은 긴 옷 착용, 기피제 사용, 풀숲 활동 자제, 활동 후 진드기 확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