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의 한 약국에 진열된 타이레놀.사진=연합뉴스


타이레놀 제조사 켄뷰가 로버트 F. 케네디 Jr.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을 상대로 타이레놀의 자폐증 발병 연관성을 부인하는 로비를 벌였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켄뷰의 임시 최고경영자(CEO) 커크 페리는 최근 케네디 장관과 비공개 회동에서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과 자폐증의 연관성이 없다고 설득했다. 이는 WSJ의 지난 5일 보도(케네디 장관의 타이레놀·자폐증 연관 보고서 발표 계획)로 켄뷰 주가가 장중 9퍼센트(%) 하락한 데 따른 대응으로 보인다.

켄뷰은 성명을 통해 “제품 안전성과 관련해 장관 및 직원들과 과학적 의견을 교환했다”며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은 자폐증을 유발하지 않으며, 이는 전 세계 보건 규제기관과 의료 전문가들의 동의”라고 주장했다.

페리 CEO는 임신부의 열을 내리는 데 아세트아미노펜을 대체할 안전한 약물이 거의 없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식품의약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과 의학계는 임신 중 특정 시기 이부프로펜이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복용이 선천적 기형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러나 일부 연구와 자폐증 환자 가족은 임신부의 타이레놀 복용이 태아의 아세트아미노펜 노출로 자폐증이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를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아세트아미노펜이 자폐증 위험을 높이지 않는다는 연구도 존재한다.

미국 산부인과학회는 지난주 성명에서 “근거 없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신중한 아세트아미노펜 사용이 태아 발달 문제와 연관된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다”며 의사 상담 후 사용을 권장했다.

로버트 케네디 미 보건복지부 장관.사진=연합뉴스


케네디 장관은 9월 내 자폐증 원인 보고서를 발표하며 백신과 함께 타이레놀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할 계획이다.

켄뷰은 보고서에 아세트아미노펜이 언급될 경우 타이레놀의 안전성을 적극 옹호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