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9월19일 금요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해면을 관할하는 주권)

토지를 관할하는 주권인즉 그 나라를 다스리는 실권이 그 지방에 덮이는 연고라. 만일 그 실권이 없고 다만 헛이름(편집자 해석: 실질적인 권한이나 영향력이 없이 이름만 있는 상태)만 걸어 아무 나라에 속한 땅이라 공포만 할진대, 누구든지 그 토지를 개간하고 인민을 보호하여 실상 주권이 시행될진대, 먼저 주장하였던 허명(편집자 해석: 실제 능력이나 권한은 없는데 이름만 알려진 상태)이 인하여 없어지나니, 이는 공법(편집자 해석: 헌법, 행정법, 국제법 등 공적인 영역을 다루는 법률 체계)상 경위라. 그런즉 공법 시행하는 세상에서 헛이름만 가지고 행세할 수 없고, 또한 주권을 찾자면 보호하는 힘을 먼저 세워야 할지라.

그러나 이는 토지가 관계한 권리라. 세계에 드러나 토지는 다 만국에 관할바 되어 분할하였으므로, 혹 실권을 잃고 허명만 가진 나라도 있고, 허명도 차차 잃어 여지가 없어지는 나라도 있으니, 다 그 주권이 있은즉 공지(편집자 해석: 아무도 소유하거나 관할하지 않는 빈 땅)로 있는 곳은 없거니와, 해면(편집자 해석: 바다의 표면)을 말할진대 온 바다가 다 만국의 공공지(편집자 해석: 여기서는 공해, 어느 한 나라가 독접할 수 없는 국제적인 공유 공간)라. 각국이 다 같이 통행하여 독단할 자 없으되, 심지어 어느 나라에든지 그 내지에 통한 바다와 혹 그 연해 지방에라도 조수(潮水, 편집자 해석: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 떨어진 곳(편집자 해석: 썰물 때 바닷물이 빠져나가 드러나는 해변 지역)에 해변에서 물 위에 십 리 안은 그 나라 토지와 같이 관할권이 있나니, 그 언덕에서 경찰 보호하는 힘이 미치는 연고라.

그 주권이 미치는 해상에는 타국 군함이 임의로 출입하지 못하나니 이는 육지 상에 타국 군사가 병기를 가지고 오르지 못함과 같은지라. 그러므로 그 방한(防閑, 편집자 해석: 경계하고 방어하는 행위, 여기서는 국가가 경계하고 통제하는 범위 내의 해역)되는 안에 바다는 곧 내 나라에 속한 토지와 같아서 그 안에 이익은 다 내 것이라. 그러나 공법상에 해면 십 리 안은 내 관할이라 하고, 능히 경찰보호를 합당케 못하여 타국 병선이 임의로 출입하되 능히 금집(편집자 해석: 출입을 제한하거나 막는 행위)할 힘이 없고 도적이 창궐하되 능히 금단(편집자 해석: 불법적인 행위를 막는 것)치 못할진대(편집자 해석: 주권은 선언이 아니라 실행이다. 해양이든 육지든, 외부의 침입을 막고 질서를 유지할 수 있어야 진정한 주권이다), 주권이 스스로 감하여 영구히 없어진 줄로 치나니, 주권이라 하는 것이 얻기도 어렵거니와 지키기가 더욱 어렵도다.

근자에 목포 등지에 수적(水賊, 편집자 해석: 해적)이 대치(大熾, 편집자 해석: 어떤 현상이 매우 활발하게일어나고 있는 상태)하여 내왕하는 내외국 상선이 심히 위험한고로, 일본 공사가 대한 외부(外部, 편집자 해석: 외교부)에 조회하고, 수적을 금치 못하면 일본 경무청 순사를 내어다가 정찰하겠노라 하였다는데, 들으니 수적에 수효가 사오백 명이오, 배가 육칠 척이라 하는지라. 이 보고가 적확(편집자 해석: 정확하고 확실함)한 소문인지 모르겠거니와, 일 공사의 조회로 말할진대, 공법상 주권 보호하는 관계를 모르는 이들은 혹 헤아리되, 만경창파(편집자 해석: 한없이 넓고 푸른 바다)에 도적을 금하고자 할진대 임의로 할 일이지 질문함은 무슨 연고이뇨 할 자 있을지라. 이로 인연하여 해상 주권보호에 관계 일절(편집자 해석: 모든 것, 전부)을 말하노니, 그 관계에 중대함은 일체(편집자 해석: 전부, 모두)로 알아야 할 일이로다.(편집자 해석: 해적을 막지 못하면 외국이 개입할 수 있고, 이는 주권의 약화로 이어진다. 해상 주권은 단순한 명분이 아니라 실질적인 통제력과 보호 능력이 있어야 한다)

대개 내 나라 해면에 도적이 있어 인명을 해하며 재물을 겁탈함은 내게도 큰 해라. 불소(편집자 해석: 작지 않다, 상당한 규모)한 재정과 인력을 들여 보호할 일을 타국이 대신하여주마 할진대, 내게 오죽 편리하며 오죽 감사하리요마는, 남이 대신 힘써 보호하는 날은 곧 토지나 해면에 내 영원한 권리는 없어짐이라. 실상 권리가 없어지면 헛이름만 내 땅이오, 내 해면이라 하나, 실상은 다 남의 것이라. 당당한 내 권리를 버리고 남이 주장하게 할진대 필경은 나의 선 땅이 없을지니 어찌 관계가 적다 하리오. 청컨대 관민간 대한 동포들은 나라를 보전하고 집안을 온전히 하려거든 성경현전(聖經賢典, 편집자 해석: 성인의 가르침과 현자의 책)과 고담 고설(편집자 해석: 현실과 동떨어진 이상적인 말이나 이론) 등 서책이 아무리 급하여도 좀 정지하고, 공업약장(功業約章, 편집자 해석: 실질적인 기술·산업·제도에 과한 문서나 학문)과 및 기타 실지 신학문을 좀 공부하여, 어서어서 이런 경위를 알아가지고 이런 폐단을 제하기로 함께 일하여 집과 나라를 다 같이 보호하여야 할지라.

만국이 교통하는 세상에 처하여 세상에 통행하는 법을 모르고 다만 옛 풍속과 정치만 의론하고 앉았을진대, 국권을 차례로 잃어버리고 앉아 무슨 도리로 장차 회복하겠느뇨. 태고적 법을 지켜 능히 보호하겠는가, 선왕의 법을 지키고 선왕의 토지권을 보호하지 못할진대, 조상의 유언을 중히 여겨, 조상의 신위가 없어지고 자손이 멸절함을 옳게 여기는 자이라, 이 어찌 참 조상을 위하는 도리라 하리오.

(다음 호는 9월20일 제218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