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사하는 한동훈 전 대표
지난달 11일 오후 광주 서구 홀리데이인 광주호텔에서 열린 김화진 국민의힘 전남도당 위원장 취임식에서 한동훈 전 대표가 축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우원식 국회의장과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가 12·3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을 위한 국회 본회의 개회 시간 지연을 두고 14일 페이스북을 통해 설전을 벌였다.
한 전 대표는 더불어민주당의 특검 강제구인 시도에 민주당이 편들었다며, 작년 12월 4일 새벽 표결 지연 이유를 물었다.
이에 우 의장은 교섭단체 협의 결과를 강조하며 반박했고, 한 전 대표는 이를 재차 비판했다.
한 전 대표는 페이스북에 “우 의장이 계엄 해제 정족수가 찼음에도 왜 바로 표결하지 않았는지 묻는다”며 “숲에 숨어 있던 이재명 당시 민주당 대표가 본회의장에 도착할 때까지 표결을 미룬 것은 아닌지”라고 주장했다.
그는 민주당의 특검 추진이 계엄 사태와 연계된 정치적 공세라고 지적했다.
발언하는 우원식 국회의장
중국 순방을 마친 우원식 국회의장이 지난 5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우 의장은 페이스북에 “국회의장이 본회의 개회 시간을 정하는 것은 혼자 하는 게 아니다”라며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 등과 최종 협의가 새벽 1시에 마무리됐다”고 반박했다.
그는 “협의 시간이 새벽 1시인데 특별한 사정 변경 없이 정족수가 찼다고 의장이 마구 시간을 변경하면 절차 위반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전 대표가 국회의원을 안 해봐서 그런가. 법을 다뤘던 분이 이런 걸 모른다는 게 이해가 안 된다”며 “알고도 그러는 것이라면 명예 훼손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한 전 대표는 즉시 페이스북에 재반박 글을 올렸다.
그는 “‘국회의원을 안 해봐서 그러나’라는 말은 우 의장의 인품을 생각하면 국민이 보기에 실망스러운 말씀”이라며 “표결 지연의 진실이 명확히 규명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시 우리 당과 민주당 의원들도 즉시 표결을 요구하며 항의한 영상이 남아 있다”며 “추 원내대표가 개회에 동의하지 않으면 계엄 해제 표결을 안 하려 했던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이번 공방은 12·3 비상계엄 해제 과정의 절차적 논란을 재점화했다.
작년 12월 4일 새벽 국회는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190명 의원 전원 찬성으로 가결했으나, 개회 시간 지연으로 정치적 의혹이 제기돼 왔다.
국민의힘은 계엄 사태 수습 과정에서 민주당의 역할에 의문을 제기하며 여론전을 펼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