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종식 이후 서울시민의 혼인 건수가 2년 연속 증가하는 긍정적인 통계가 발표되었지만, 한편으로는 '황혼 이혼'이 크게 늘고 평균 이혼 연령이 50대에 진입하는 등 우리 사회의 가족 형태가 급격히 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인 가구와 고령자 가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반면, 미래 세대를 상징하는 영유아 자녀 가구는 대폭 감소하여, 서울 가족의 풍경이 근본적인 변화의 기로에 서 있다는 진단이다.
서울시는 오늘 15일 혼인·이혼 추이와 가구 구조 변화를 분석한 '서울시민의 결혼과 가족 형태의 변화'를 발표했다.
통계청 인구총조사, 인구동향조사 등 국가승인통계를 근거로 정리된 이 자료에 따르면, 혼인 건수는 코로나19 유행기인 2020년 4만4천7백4십6건에서 2022년 3만5천7백5십2건으로 급감했으나, 코로나가 종식된 2023년 3만6천3백2십4건으로 반등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지난해에는 전년보다 16.9퍼센트(%) 늘어난 4만2천4백7십1건을 기록했다.
초혼 평균 연령은 남성 34.3세, 여성 32.4세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국제결혼은 전체 결혼의 약 10퍼센트(%)를 차지하여 지난해 4천6건을 기록했다.
이 중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의 결합이 2천6백3십3건, 외국인 남편과 한국인 아내의 결합이 1천3백7십3건이었다.
하지만 이혼 건수의 양적 감소와는 별개로 질적인 변화는 더욱 우려스럽다.
지난해 총 이혼 건수는 1만2천1백5십4건으로 10년 전인 2014년 1만9천4백7십7건에 비해 큰 폭으로 줄었으나, 평균 이혼 연령은 남성 51.9세, 여성 49.4세로 2000년(남성 40.8세, 여성 37.4세)보다 무려 10년 이상 상승했다.
특히 60세 이상 '황혼 이혼'은 2000년 이혼 건수 대비 3퍼센트(%)대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25퍼센트(%) 수준까지 대폭 늘어 고령화 시대 가족 해체의 새로운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가구 구조의 변화 역시 미래 사회에 대한 중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지난해 서울의 1인 가구는 약 1백6십6만 가구로 전체의 39.9퍼센트(%)를 차지하며, 가장 보편적인 가구 형태로 자리 잡았다. 2인 가구는 26.2퍼센트(%), 4인 가구는 12.3퍼센트(%)에 그쳤다.
더욱이 올해 7월 내국인 기준으로 서울 전체 인구 중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퍼센트(%)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가구원 중 1명이라도 65세 이상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전체의 30퍼센트(%)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구에 0~5세 이하 자녀가 1명 이상 있는 영유아 자녀 가구는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다.
서울의 영유아 자녀 가구는 2016년 35만여 가구에서 지난해 20만여 가구로 8년 새 40퍼센트(%) 이상 줄었으며, 같은 기간 영유아 수도 44만여 명에서 24만여 명으로 급감하여 심각한 저출산 흐름을 명확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다문화가구는 약 7만8천 가구로 가구원 수가 20만 명을 넘어섰고, 혼인이나 혈연으로 맺어지지 않은 친구·동료·생활 동반자가 함께 주거를 공유하는 '비친족가구'는 2016년 6만여 가구에서 지난해 12만여 가구로 증가했다.
특히 비친족가구는 20~30대 연령층에서 증가세가 뚜렷하게 나타나, 전통적인 가족 개념의 변화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서울시는 이러한 급변하는 가족 형태에 대응하기 위해 맞춤형 돌봄·주거·복지 정책을 강화하고 다문화·비친족가구를 제도적으로 포용할 정책을 발굴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변화하는 현실을 반영해 고립·외로움 예방, 청년 주거 안정, 양육친화 환경 조성 등 시민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지만, 급격히 진행되는 저출산·고령화와 전통적 가족 가치의 약화는 우리 사회의 근간을 뒤흔드는 문제인 만큼, 더욱 근본적이고 강력한 정책 해법 모색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