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지국무회의 배석하는 김현지 총무비서관
김현지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이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을지 국무회의에 배석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대통령실이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김현지 총무비서관의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 출석 여부에 대해 “국회에서 논의해 결정할 문제”라고 밝혔다.
강유정 대변인은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참석자, 배석자, 증인 출석은 운영위에서 정하는 사안”이라고 답했다. 이는 11월 6일 예정된 운영위 국정감사에서 김 비서관 증인 채택 여부를 둘러싼 여야 공방 속 나온 입장이다.
강 대변인은 “전통적으로 총무비서관은 특별 증언 사례가 아니면 증인이 아닌 배석 인원”이라며 “이조차 운영위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김 비서관은 이재명 대통령의 측근으로 알려져 있으며, 과거 2022년 이재명 의원에게 “출석 요구서가 왔습니다. 전쟁입니다”라는 메시지를 보낸 사실이 공개된 바 있다. 최근에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사퇴 권유 의혹 등으로 논란이 됐다.
김 비서관은 대통령실 인사와 행정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앞서 지난 24일 운영위 전체회의에서 여야는 김 비서관 증인 채택을 놓고 충돌했다.
국민의힘은 “총무비서관 소환 배제는 전례없는 일”이라며 “대통령실 존엄이냐”고 반발했다.
조은석 국민의힘 의원은 “허니문 기간이라도 총무비서관은 출석해야 하며, 특활비 공개처럼 설명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출석으로 충분하다며 반대했다.
문진석 민주당 간사는 “비서실장이 더 많은 권한을 가지며, 이를 정쟁으로 삼으려는 국민의힘 의도에 동조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결국 여야는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대통령실은 김 비서관 출석을 국회 결정으로 돌리며 중립적 입장을 유지했다.
운영위 국감은 오는 11월 6일부터 시작되며, 증인 채택은 여야 합의가 관건이다.
김 비서관의 출석 여부는 이재명 정부 초기 국감의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