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샘 진화작업 이뤄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소방당국 관계자들이 나오고 있다. 전날 오후 8시 20분께 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화재가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9시간 50분 만인 이날 오전 6시 30분께 초진 완료했다.사진=연합뉴스

지난 26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가 약 10시간 만에 초진됐으나, 데이터 훼손 우려로 인한 진화 작업의 어려움과 리튬이온배터리의 특성으로 인해 여전히 정부 전산 서비스 마비는 지속되고 있다.

소방 당국은 27일 오전 큰 불길을 잡고 잔불 정리 및 배연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같은 날 대전시 소방본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8시 20분께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시작된 화재는 이날 오전 6시 10분경, 즉 9시간 50분 만에 큰 불길이 초진됐다.

대전시 소방본부는 인원 1백70여 명과 소방차 등 차량 63대를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였으나, 대량의 물을 투입할 경우 국가자원 데이터가 훼손될 수 있어 이산화탄소 등 가스소화설비를 사용하며 신속한 진화에 한계가 있었다.

불길이 재점화되자 결국 배터리를 분리한 후 방수 작업을 진행했으나, 최소한의 물만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화재 진압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내부에 쌓여있던 리튬이온 배터리 팩 192개는 이미 상당 부분 연소한 상황이다.

이번 화재는 배터리 교체 작업을 위해 전원을 차단하던 도중 발생했으며, 이 과정에서 작업을 하던 협력업체 직원이 얼굴과 팔에 1도 화상을 입는 인명 피해가 있었다.

불이 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지난 26일 오후 8시 20분께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리튬배터리 화재가 발생,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행정안전부는 이번 화재로 대전 본원에 입주한 정부 서비스가 중단됐다고 이날 밝혔다.

현재까지 모바일 신분증과 국민신문고 등 1등급 서비스 12개와 2등급 서비스 58개 시스템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 홈페이지와 정부 온라인 민원 서비스 정부24도 장애를 보이고 있으며, 복구 시점은 아직 불투명한 상태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상황

지난 26일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가 약 10시간 만에 초진됐다. 이 불로 내부에 있던 리튬이온배터리 팩 384개가 모두 소실됐다. 27일 대전시 소방본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8시 20분께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발생한 불이 이날 9시간 50분 만에 꺼졌다.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