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러시아 외교장관이 유엔(UN, United Nations) 총회 계기에 뉴욕에서 회담을 갖고 한반도 상황과 북·러 군사협력을 논의했다.
외교부는 27일 조현 외교부 장관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과 26일(현지시간) 회담했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재명 정부의 대북정책을 설명하며,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을 통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추구한다고 밝혔다.
그는 북·러 군사협력에 대해 엄중한 우려를 전달하며 중단을 촉구했다.
반면, 라브로프 장관은 미국과 아시아 동맹국들의 북한 대상 군사 활동을 “도발적”이라고 비판했다.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외무부는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미국과 동맹국들의 제재 강화와 강압적 압박 정책의 도발적 성격을 지적했다”며, 라브로프 장관이 “상호 존중하는 대화를 통한 신뢰할 메커니즘 구축만이 동북아 평화의 대안”이라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조 장관은 러시아 내 한국인 보호와 한국 기업의 안정적 활동을 위한 우호적 여건 조성을 러시아 측에 요청했다.
양측은 앞으로도 필요한 소통을 이어가기로 했다.
이번 회담은 지난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한·러 외교장관 간 첫 정식 양자 회담이다.
지난해 7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외교장관회의에서 조태열 당시 외교장관과 라브로프 장관이 약식 회동한 적은 있으나, 정식 회담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러 군사협력으로 한·러 관계가 악화된 가운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종전 논의와 이재명 정부의 대러 관계 관리 의지가 회담 성사 여건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정부는 북·러 군사협력이 한반도 안보를 위협하지 않도록 러시아와 고위급 소통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회담은 한·러 관계 개선 가능성을 보여주며, 한반도 정세에 미칠 영향을 주목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