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9년 판문점에서 만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사진=연합뉴스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간 정상외교가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현지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이 같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에이펙(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미 정상 간 대화 재개 여부에 대해 "지금으로선 단정적으로 말하기 곤란하지만 그럴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북미 정상 간의 대화는) 할 수 있는 일이고 또 그렇게 되기를 바라면서 지켜보도록 하겠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정부 고위 관계자의 발언은 최근 북한 김정은이 북미대화에 대한 의향을 피력한 이후 정부의 판단이 달라졌음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였던 지난 2019년 6월 일본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Group of Twenty) 정상회의 후 예정 없이 한국을 방문해 판문점에서 김정은을 만난 바 있어, 유사한 형태의 북미대화 가능성도 거론된다.

앞서 북한 김정은은 지난 21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3차 회의에서 "개인적으로는 현 미국 대통령 트럼프에 대한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며 "만약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 데 기초하여 우리와의 진정한 평화 공존을 바란다면 우리도 미국과 마주 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발언한 것으로 북한 관영매체들을 통해 보도된 바 있다.

이러한 김정은의 '비핵화 포기'를 전제로 한 북미대화 의향 피력 이전에는 정부가 에이펙(APEC) 계기 북미대화 가능성에 다소 회의적이었다.

일례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지난달 29일 씨비에스(CBS, Columbia Broadcasting System)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하여 한미정상회담(올해 8월 25일) 이후 제기된 북미·남북미 대화 가능성과 관련해 "현실적으로 대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높게 잡지 않는 것이 오히려 건설적"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한편, 정부 고위 관계자는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이 이재명 대통령 주변에 이른바 '동맹파'가 많다며 외교·안보 라인의 인적 개혁을 주장한 것에 대해 "우리 정부 안이 동맹파와 자주파로 나뉘어 있다는 것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 뜻도 그렇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National Security Council) 회의 참석자들 모두 실용외교를 추구하는 '실용파'"라고 강조하며, 정부 내부에 불필요한 분열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